공급 중단 마도파정…政 "약가인상 협의"
제네릭 출시 후 한국로슈 '철수' 결정…"수입원가 등 제출시 상한액 조정"
2023.05.03 05:52 댓글쓰기

제약사 품목신고 자진취하로 공급 중단 사태에 놓인 파킨슨병 치료제 ‘마도파정’에 대해 정부가 약가를 인상할 수 있다는 의지를 피력했다.


2일 제약계에 따르면 한국로슈 마도파정은 염산벤세라짓/레보도파 성분 복합제로 지난 1992년 국내에 처음 허가된 파킨슨병 치료제다.


레보도파 제제는 도파민 전구체로 도파민과 달리 뇌혈관장벽(BBB, 뇌혈관관문)을 통과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파킨슨 치료제로 다빈도 사용돼 왔다.


하지만 마도파정은 낮은 약가로 정부가 공급을 관리하는 국가필수의약품에 지정되는 등 수익성은 그다지 좋지 못했다.


지난 2021년 명인제약의 '명도파정'이 출시되면서 전환점을 맞이했다. 후속 제네릭 등장으로 약가인하가 다시 예고된 만큼 철수 결정을 내려졌다.


이후 ‘마도파정’은 올해 1월 6일 제약사 품목신고 자진취하로 2월 1일자로 건강보험 급여목록에서 삭제됐다. 


이 가운데 최근 국회 국민동의청원에는 '14만 파킨슨병 환우를 위해 기존 오리지널 약제의 재공급에 관한 청원' 글이 게재됐다. 


청원인은 “건보재정 절감과 제도개선 차원의 일환으로 동일 성분의 후발 의약품이 등재되던 과정에서 파킨슨 환자들이 유일하게 의존하던 마도파정이 국내 시장에서 완전히 철수됐다”고 지적했다.


이어 “복제약으로 등재된 명인제약 명도파로 인해 기존 오리지널 약을 복용중이던 환자들은 약품을 선택할 기회도 없이 복제약을 복용하게 됐고 부작용으로 이중 고통을 받고 있다”고 주장했다.


청원인은 “무리한 약가 인하 정책으로 발생한 정부 부처와 제약사 간의 의견 대립이 아프고 힘없는 환자들에게 또 다른 고통을 주고 있다”면서 “오리지널약인 한국로슈의 마도파와 시네메트 등이 재공급돼야 한다”고 요청했다.


환자단체에서도 비슷한 취지의 자료를 통해 “파킨슨병 환자들이 짧은 약효 시간, 기립성저혈압, 심각한 어지러움, 섬망, 환시 등의 고통을 호소하고 있다”면서 “복제약과 함께 오리지널 약도 공존할 수 있게 정부 당국의 정책이 나와야 한다”고 피력했다.


국회에서도 해당 문제가 지적됐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강은미 의원(정의당)은 마도파정 공급 중단 사태 관련 정부 대책 서면 질의했다.


보건복지부 보험약제과는 “‘약제 상한금액 조정제도’를 통해 적정 약가를 보상해 임상 현장에 안정적으로 공급되도록 지원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는 최근 발표된 건강보험 지속가능성 제고 및 필수의료 지원대책을 통해서다. 환자 진료에 반드시 필요하지만 경제성이 낮아 수급이 원활하지 않은 필수의약품이 대상이다.


약가 인상을 통해해서라도 마도파정 등 파킨슨병약의 국내 공급 중단 사태를 막겠다는 의지도 밝혔다. 제약사가 식약처 허가를 받은 후 건강보험 등재를 신청하면 관련 절차를 신속하게 진행한다는 방침이다.


보험약제과는 “약가는 제약사가 수입 원가 등 근거자료 제출시 해당 상한금액 조정제도를 통해 합리적이고 적정한 수준으로 조정될 수 있도록 유관기관과 협의해 나가 것”이라고 강조했다.



댓글 1
답변 글쓰기
0 / 2000
  • 성수호 07.23 14:14
    131242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