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대면진료 정착 위해 '의료진 보호체계' 구축 시급'
'현 상황에서는 사실상 전무, 진료비 '먹튀' 잦아 결제시스템 개선 필요'
2020.06.26 05:30 댓글쓰기

 

[데일리메디 임수민 기자] 국내 비대면진료 발전과 정착을 위해서는 의료진을 보호할 수 있는 체계 구축이 최우선으로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김기환 메디히어 대표는 대한의료정보학회(이사장 이영성)가 25일 ‘현실로 다가온 비대면 진료, 국내 기술의 현주소는?’라는 주제로 개최한 제1회 웨비나에서 이같이 밝혔다.
 

메디히어는 국내 최초로 원격 화상진료 애플리케이션을 출시한 디지털 헬스케어 스타트업 회사로 코로나19 확산으로 정부가 한시적으로 원격진료를 허용하자 미국에서 시작한 원격진료 플랫폼을 지난 3월 국내에 무료로 출시했다.
 

메디히어는 명지병원과 한양대병원, 국립암센터 등과 업무협약을 맺고 비대면진료 실용화를 위해 원격 화상진료 플랫폼과 개발인력을 지원하고 있다.
 

이용자는 앱을 통해 원하는 의사 및 진료 일정을 선택할 수 있고 증상 입력·진료비 결제카드 등록 등을 거치면 영상·채팅·전화로 진료를 받을 수 있다.
 

처방전은 팩스, 채팅을 통해 등록된 약국으로 전송되며 진료과목은 응급의학, 가정의학, 정형외과, 정신건강, 신장내과 등 20여 개에 달한다.
 

김 대표는 “5월 기준 앱 가입자는 1만359명이고 등록된 의사는 113명에 이른다. 원격진료를 받은 누적 회원 또한 9264명을 기록했다”며 “메디히어는 이용 기회 확대 차원에서 환자 진료비를 제외한 원격통신 솔루션·의료기관 플랫폼 사용료 등 모든 운용비용을 회사가 부담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이어 “비대면진료는 이제 시작하는 사업이기 때문에 부족한 점이 많아 앞으로 개선이 필요한 부분이 많다”며 “하지만 국내에서 비대면진료가 확장‧정착되기 위해 최우선으로 개선이 필요한 부분은 의료진을 보호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김 대표는 “원격의료에서 가장 중요한 측면은 의사다.  의사 편리성과 안정성이 1순위가 돼야 하는데 현재 국내에는 비대면진료에서 의료진을 보호해 줄 어떠한 장치도 마련되지 않았다”며 “비대면진료 중 발생 가능한 문제 상황에서 의료진을 보호해줄 수 있는 체계와 가이드라인을 구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비대면진료에 참여하는 의료진에 대한 명확한 추가 수당이 필요하다”며 “배달의 민족도 배달 수수료가 붙는데 비대면진료 역시 환자의 과거 진료기록이나 통신장비 구축 등 의사가 별도 시간과 노력을 들여 준비해야 할 부분이 많아 추가적인 수당이 필요하다”라고 덧붙였다.
 

김 대표는 비대면진료를 진행 중인 병‧의원에서 현재 겪고 있는 가장 큰 어려움으로 후불 결제가 원활히 이뤄지지 않는 점을 꼽았다.
 

그는 “현재 비대면진료 서비스를 진행 중인 병‧의원의 말을 들어보면 가장 큰 어려움은 후불결제가 원활하게 이뤄지지 않는다는 것이다”며 “일명 진료 후 돈을 이체하지 않는 ‘먹튀’가 많다는 것인데 5000원가량 금액 때문에 병‧의원이 환자에게 일일이 입금을 독촉하기도 어려운 상황이다”라고 말했다.
 

원활한 후불결제를 위해 메디히어는 지난 5월 KG이니시스와 원격진료 전용 결제시스템을 구축했다.
 

김 대표는 “비대면진료 서비스 도입이 빠르게 이뤄지더라도 국내 의료시스템에 맞는 결제수단 제공이 어려워 고민이 많았다”며 “원격진료 전용 결제시스템 구축을 통해 카드 번호를 입력해야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수납 체계를 마련했다”고 말했다.
 

이어 “일부에서는 한 병원에서 같은 환자를 치료하는 의료진이 진료 기록을 공유하듯 비대면 진료에서도 진료기록을 공유할 수 없냐는 지적이 있다”며 “환자 허락이 있다고 해도 개인정보와 관련된 사항은 워낙 민감하고 문제가 될 소지가 커 아직 불가능하지만 추후 도입을 고려하고 있다”라고 덧붙였다.



댓글 1
답변 글쓰기
0 / 2000
  • 강민기 06.28 12:27
    의료진분들께 도움을 드리고자 다양한 노력을 하고있는 모습을 보니 정말 대단하다는 생각이들어요. 전국 모든 의료진분들 항상 힘내시고, 항상 옆에서 응원하겠습니다.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