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감염 위험 '원천봉쇄 전략' 주효 병원계
대형병원 위주 '비대면·비접촉 서비스' 제공으로 확산 방지 기여
2020.04.10 06:15 댓글쓰기

[데일리메디 특별취재팀/기획 1]] 세계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공포에 휩싸이고 있다. 일부 국가에선 1만명이 넘는 사망자와 10%가 넘는 치명률이 보고되는 등 인명 피해, 경제손실, 사회붕괴의 끝을 가늠하기 어렵다. 이 가운데 대한민국은 코로나19라는 감염병을 효과적으로 억제한 국가로 떠오르고 있다. 개인 자유와 인권을 존중하는 법치국가에서 어떻게 대규모 전염병과 싸워 이길 수 있는지 가늠자가 됐다는 평가다. 맞춤형 고강도 방역관리, 코로나19 확진자를 정확히 찾아내는 기기와 시스템, 의료기관의 적극적인 대처와 협조는 이를 가능케 했다. 국내를 넘어 전세계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게 된 원동력을 데일리메디가 살펴봤다. [편집자주]
 

①감염위험 원천봉쇄…슬기로운 병원생활
②‘메이드 인 코리아’ 진단키트…각국 러브콜 '쇄도'
③체계적 확진자 진료시스템…전 세계서 큰 관심
④숫자로 확인된 대한민국 위상…치사율↓‧완치율↑
⑤각국 정상부터 외신까지 쏟아지는 찬사 ‘국가 위상 수직상승’
 

한국의 뛰어난 코로나19 대처 능력은 이미 세계적인 주목을 받고 있다. 아직까지 외국인 입국 전면 금지나 정부의 조치를 따르지 않는 개인에 대한 강제 없이 ‘사회적 거리두기’만으로도 코로나 위기를 막아내고 있는 국내 상황은 다른 나라에게 귀감이 되고 있다.


한국의 대응 능력을 칭찬할 때 흔히 언급되는 드라이브 스루와 같은 새로운 검사 방식 외에도, 병원 현장에서 사회적 거리두기를 돕는 조력자로써 활약하고 있는 다양한 시스템이 있다.
 

특히 ‘비대면 서비스’의 발달이 대표적이다. 빠른 병원 진료와 환자 관리를 위해 발달했던 모바일 예약 서비스가 코로나19로 특수 아닌 특수를 누리고 있다.


대표적인 병원 예약 접수 서비스 똑닥의 경우 이용 비율이 전년 동기 대비 2배 가량 증가했다.

코로나19 위기 경보가 심각 단계로 격상된 2월 23일부터 한 달 간 전국 똑닥 제휴 병원 1만 2000여 곳의 진료 건수는 전년 대비 2/3 수준으로 감소했으나, 같은 기간 똑닥의 모바일 병원 접수 및 예약 서비스와 키오스크 이용 건수는 전체 진료 건수의 25%로 집계돼 전년 13% 대비 2배 가량 늘었다.


확진 판정을 받은 의료진이 늘어나고 병원 내 감염이 확산되면서 정부는 전화처방 등 비대면 진료를 강화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이에 따른 관련 서비스 출범도 한창이다.


디지털헬스 전문기업인 라이프시맨틱스의 경우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유헬스케어 진단지원을 통해 개발한 전화진료 지원 솔루션을 보유하고 있다.


체온, 심박수, 혈압, 혈당 등 다양한 생체데이터를 개인이 손수 앱에 기록할 수 있으며, 앱 전용 체온계를 연동해 체온을 자동측정할 수도 있다. 환자 상태에 따른 건강관리 프로그램도 제공된다.


모니터링 뿐 아니라 전화진료 시 의료기관이 혼선을 빚는 다양한 애로사항들의 해결책도 제시한다. 사용자 가입과 상담예약 과정에서 각각 본인인증, 전화진료 동의 절차를 밟기 때문에 의료기관은 환자 본인 확인은 물론 예외적 상황에 따른 책임소재를 분명히 할 수 있다.


서울대병원은 비대면 진료에 이어 처방전 발행까지 비대면으로 진행하는 서비스를 도입했다. 국내 헬스케어 스타트업 기업인 레몬헬스케어와 함께 전국 2만여 약국에 서울대학교병원 환자용앱 기반의 전자처방전을 전송하는 방식을 적용했다.


정부 방침에 따른 한시적 허용이긴 하지만, 전자처방전 전송이 가능한 약국의 경우 서울대학교병원 앱의 전자처방전 메뉴에서 환자가 직접 원하는 약국을 선택해 전자처방전을 전송할 수 있다. 전자처방전 전송 후, 환자는 유선 또는 서면으로 약사의 복약지도를 받은 뒤 수령 방식을 협의해 약을 조제받는 식이다.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사태 이후 도입된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및 병동 출입문 설치 등 환자 및 방문객 간 접촉 제한 정책도 계속되고 있다.


한림대학교동탄성심병원은 병동 출입관리에 인공지능(AI) 안면인식을 도입했다. 기존에는 병원서 지급하는 별도 출입증을 이용해야만 병동 출입이 가능했으나 외부인 출입관리를 강화하기 위해 안면인식을 통한 병동출입시스템을 적용했다.


병원 측은 “스마트병원 구축을 통한 비접촉·비대면 서비스의 강화는 코로나19 감염예방에도 큰 효과가 있을 것”이라며 “병원 이용에 있어 단순, 반복적으로 시행하게 되는 절차들에 대해 비대면 서비스를 확대하려 한다”고 설명했다.


이처럼 의료기관 내에서도 사회적 거리두기를 돕는 아이템이 발달할 수 있는 것은 코로나19 이전에도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등을 활용해 병원 이용 시 마주해야 하는 복잡한 업무 절차들을 간소화하려는 노력들이 있었기 때문이다.


실제 현재 상급종합병원을 비롯한 거의 모든 대학병원들은 접수와 검사 절차, 입·퇴원 및 수술일정, 수납 등을 앱으로 설명하거나 처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활용하고 있다.


의료 IT업체 관계자는 “대형병원은 자체 애플리케이션을 제작해 환자에게 제공하는 경우가 많다. 행정업무에 따른 각종 민원 대응에 효율적이며 최신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이미지를 줄 수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한정된 인력을 운영하면서도 여러가지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는 방향으로 발달하고 있는 병원 업무 특성상 도입됐던 정책들이 감염 확산세를 꺾는 데도 기여하고 있는 셈이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