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남대 대안 등 지역내 의대 설립 논의 지속
이용호 의원, 이달 20일 토론회···공공의과대학 유치 방안 근거 마련
2018.02.13 12:10 댓글쓰기

매년 논의돼왔던 지역 내 의과대학 설립 논의가 올해도 어김없이 이어지고 있다.
 

이용호 의원(전북 남원·임실·순창)은 오는 20일 오후 2시 국회의원 회관 제3세미나실에서 ‘서남대 폐교 이후 대안 모색 토론회’를 개최한다고 최근 밝혔다.
 

이번 토론회에서 오는 2월 28일 서남대 폐교가 예정된 상황에서 기존 서남대 인프라를 활용한 공공의과대학 설립에 대한 논의가 이뤄질 예정이다.
 

그간 이용호 의원은 정세균 국회의장 주관으로 김상곤 교육부총리, 박능후 보건복지부장관, 유성엽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장, 박원순 서울시장 등과 지속적으로 간담회를 가지며 서남대 대책을 논의해 왔다.
 

이 의원은 “서남대가 폐교를 앞둔 안타까운 상황을 그냥 두고 볼 수 없다. 지역경제 피해를 최소화하고 위기를 기회로 바꿔야 한다”며 “공공의대는 서남대 건물과 부지는 그대로 활용하면서 민간의료영역에서 꺼리는 응급·구조 등 공공의료를 강화하는 한편, 지역경제도 살릴 수 있는 방안이다. 서남대 정상화를 위해 기울였던 열정을 공공의대 설립에 바치겠다”고 말했다.
 

전라도 지역 내 의과대학 설립 논의는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정의당 윤소하 의원은 지난해 8월 목포대학교를 방문하는 등 전남 서남권 의대 유치 필요성을 강조해왔다.
 

당시 목포대와의 간담회를 통해 윤소하 의원은 1990년부터 꾸준히 목포 시민들에 의해 제안된 의과대학 유치가 전남 서남권 지역의 낙후된 의료 복지 서비스를 극복하기 위한 중요 방안임을 확인하고 이를 실현시키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윤소하 의원은 “서남대 폐교 결정과 무관하게 전남은 전국 16개 광역시·도 중 유일하게 의과대학이 없는 곳이고 전남 서부권은 보건복지부가 전문화된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지정한 전문병원(99개)도 없는 유일한 지역으로 의료인력 양성·공급 시스템을 갖지 못한 소외된 지역"이라며 "공공의료 인력 양성과 보건의료 사업 활성화를 통해 지방대학을 육성하고 지역 간 균형발전을 유도하자”고 말했다.
 

최근에는 지방자치단체가 공공보건의료분야에 종사할 의료인을 양성하기 위해 의과대학 설립을 허용하는 방안이 추진되기도 했다.
 

더불어민주당 기동민 의원은 지난 1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공공보건의료에 관한 법 개정안’을 대표발의했다.
 

기동민 의원은 “최근 공공보건의료에 종사하려는 의료인이 감소함에 따라 공공보건의료 전달체계가 원활히 작동하고 있지 못하고 있다”며 “이로 인해 공공보건의료서비스에 대한 국민의 만족도 및 신뢰도 또한 저하되고 있다”고 전했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