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병리사, 이름 바꾸고 평가제 도입 추진
장인호 회장 "높아진 위상 부합하고 전문가 격(格) 맞게 개명 방침"
2022.10.12 05:17 댓글쓰기

코로나19를 계기로 K-의료 위상을 전 세계에 확실하게 각인시킨 임상병리사들이 현실에 안주하지 않고 한 단계 높은 도약을 위한 의미 있는 시도에 나서 귀추가 주목된다.


60년 만의 명칭 변경과 함께 향후 국내 진단검사 현장의 주역이 될 예비 임상병리사들이 양질의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별도 평가제도를 마련했다.


물론 앞으로 넘어야 할 산이 많기는 하지만 세계 속의 한국 임상병리사들 위상을 더욱 공고히 하기 위한 행보라는 점에서 관심을 모은다.


대한임상병리사협회 장인호 회장은 최근 열린 세계임상병리사연맹총회 및 협회 60주년 기념 학술대회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이 같은 구상을 밝혔다.


장인호 회장은 “과거 소변, 대변, 기생충 검사를 담당하던 임상병리사들이 이제 임상현장 중추로 자리매김했다”며 “달라진 위상 제고를 위해 명칭 변경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이어 “특히 세계적으로 임상병리에 대한 중요성이 강화되고 있고, 한국은 그 중에서도 선두 그룹에 속해 있는 만큼 그에 합당한 명칭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협회는 이를 위해 최근 연구용역을 통해 5개 명칭안을 도출하고 현재 내부적으로 의견수렴 절차를 진행 중이다.


내부 조율을 통해 최종안이 마련되면 주무부처인 보건복지부와 관련 법 개정을 위한 국회에 이를 전달하고 본격적인 개명 작업에 착수한다는 방침이다.


현재 국내에서의 정식 명칭은 ‘임상병리사’, 영어로는 ‘Medical Laboratory Technologist’다.


미국, 캐나다, 호주 등에서는 ▲Clinical Laboratory Technologist ▲Medical Laboratory Technologist ▲Medical Laboratory Scientist 등 다양한 명칭이 사용되고 있다.


때문에 이번 세계임상병리사연맹총회에서도 ‘명칭 통일’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됐다. 일단 각 나라별 명칭을 취합하고 최종안을 도출한다는 목표를 설정했다.


한국 역시 이러한 흐름에 편승해 명칭 변경을 추진한다. 임상병리사들의 달라진 위상을 반영함과 동시에 다양한 분야의 활약상을 내포할 수 있는 명칭으로 바꾼다는 복안이다.


장인호 회장은 “코로나를 계기로 임상병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지금이 명칭 변경 최적기”라며 “위상 강화와 인지도 제고를 동시에 수용할 수 있는 이름을 도출해 내겠다”고 말했다.


“양질의 교육 통한 임상병리사 양성하고 평가원 설립 등 제도권 진입 목표”


명칭 변경과 함께 주목되는 또 다른 행보는 ‘임상병리학과평가원(가칭)’ 발족이다.


대한임상병리사협회는 지난해 임상병리학과가 개설된 전국 대학들의 교육 질 평가를 위해 별도 평가원을 설립하고, 운영에 들어갔다.


물론 아직 교육부와 복지부 등 주무부처들로부터 정식 인가를 받은 기구는 아니지만 예비 임상병리사들의 자질 함양을 도모하겠다는 취지에는 공감을 얻고 있다.


실제 올해 김천대학교, 대구대학교, 혜전대학교 등이 임상병리학과 커리큘럼과 교수진 등 양질의 교육환경을 갖춘 것으로 합격점을 받았다.


현재 국내에는 54개 대학이 임상병리학과를 운영 중이다. 협회는 향후 임상병리학과평가원 인증을 제도권으로 진입시키겠다는 계획이다.


2022년 기준으로 3000명 이상이 임상병리학과를 졸업하고, 이중 2500여 명이 임상병리사 자격을 취득해 현장에 배출된다.


특히 신규 임상병리사들은 주로 병원에 취업하던 예전과 달리 최근에는 경찰, 국과수, 국방, 방역, 연구소 등 다양한 분야로 진출하고 있는 상황이다.


때문에 각 분야에서 전문가로서 제대로된 역량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교육현장에서부터 제대로 된 인재 양성 프로그램이 가동돼야 한다는 게 평가원 설립 취지였다.


장인호 회장은 “의대나 간호대 등도 평가를 통한 교육의 질 관리가 이뤄지고 있는 것처럼 임상병리학과도 양질의 교육을 지향할 수 있도록 평가가 필요하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이어 “아직 시작 단계인 만큼 앞으로 다듬어 나가야할 부분이 많겠지만 궁극적으로는 인증 여부가 학생 전형이나 제도적 지원에 기준점이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