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두사미 우려 '입원전문의(호스피탈리스트)'
윤영채 기자
2017.04.04 05:17 댓글쓰기

병원계에서 젊은의사, 간호사 등 ‘인력’은 뜨거운 감자다. 특히 최근 가장 큰 화두는 소위 호스피탈리스트라 불리는 ‘입원전담전문의’다.
 

입원부터 퇴원까지 환자진료를 직접 담당하는 ‘입원전담전문의’는 전공의특별법, 내과 수련기간 단축 등과 맞물려 의료 공백을 메울 대체인력으로 주목받았다.
 

보건복지부도 지난해 7월 시범사업 참여병원을 지정하고 새로운 의료서비스 모형을 개발하는 데 박차를 가했다.
 

그러나 뜨거운 기대 속에 시작된 입원전담전문의 시범사업 결과는 처참했다. 2016년 말 기준으로 입원전담전문의를 채용해 운영하는 병원은 7개에 불과했다.
 

억대 연봉과 교수 자리까지 제시하며 최고 대우를 보장했지만 지원자는 좀처럼 나타나지 않았다. '불안정한 근무 여건'과 '낮은 인센티브 기전' 등에 기인한다는 게 의료계 분석이다.
 

서울 소재 한 대학병원 교육수련과장은 “의료 공백을 메울 대체인력 확보 차원에서 입원전담전문의를 채용하려 했지만 지원자가 없어 애를 먹고 있다”고 토로했다.
 

물론 절망적인 상황은 아니다. 입원전담전문의 지원 대상자들은 제도 자체에 거부감 보다 기대감을 나타냈다.

대한전공의협의회가 올해 2월 공개한 ‘전국 외과 전공의 대상 수련교육과정 개편 및 입원전담전문의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 84명 중 47명(56%)가 ‘나중에 지원할 수도 있다’고 응답했다.
 

아울러 ‘지원할 의사가 있다’는 답변도 19명(22.6%)으로 나타나는 등 의료 현장에서 실제 입원전담전문의 지원 의향이 있는 전공의들이 과반수가 훌쩍 넘는 79%를 차지했다.
 

그럼에도 당장 지원을 미루는 데에는 ‘계약직이라 고용이 불안하다"는 답변이 23%로 가장 많았다.
 

병원들에게는 수가도 문제였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최근 공개한 보고서에 따르면 시범사업 수가가 입원전담전문의 행위량 비용 보전을 포함하지 않고 있어 현실에 맞는 수가 재산정이 필요하다고 지적된 바 있다.
 

이 같은 문제점이 산적한 가운데 복지부는 올해 초 10개 의료기관을 추가로 입원전담전문의 시범사업 기관에 선정하겠다는 계획을 공개했다.

하지만 공모결과 이대목동병원, 양산부산대병원, 화순전남대병원 등 6개 병원만 추가돼 당초 목표에 크게 미치지 못했다.

이러한 문제점 해결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입원전담전문의 정체성 확보가 시급하다.
 

대한외과학회 이우용 기획이사는 “입원전담전문의 정체성 확보를 통해 환자에 대해 독자적 판단을 하고 의견을 개진해 담당교수와 상의를 통해 치료를 제공하는 개념을 확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새로운 시도는 항상 과도기를 동반한다. 국내 의료환경에 처음 도입된 입원전담전문의 제도 역시 고용 여건은 물론 직업의 정체성, 적정수가 등 다방면으로 부족한 점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여기서 멈춰서는 안된다. 높은 환자 만족도와 함께 전공의 지원 가능성도 열려 있는 것으로 확인되는 등 제도 개선 여지는 충분하다.
 

현장에 귀 기울이고 국내 의료환경에 맞는 의료 서비스 모델을 지속적으로 도출해 안정적인 본사업으로의 이행을 기대한다. 더불어 의사들의 직업 만족도를 제고하면서 환자들에게는 적정한 서비스를 제공, 궁극적으로 국민건강 증진에 기여하는 제도로 정착하기를 바란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