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 옥죄는 ‘의료 악법(惡法)’ 악순환
김성미 기자
2017.03.07 12:13 댓글쓰기
[수첩]일명 개목걸이 법으로 불리는 의료인 명찰 착용 의무화법에 대한 의료계 반발이 가라앉지 않고 있다.
 
일각에서는 전면 폐지를 주장하며 결사 항쟁의 외침까지 나온다. 명찰패용 의무화에 앞장섰던 대한성형외과의사회는 공공의 적이 된 형국이다.
 
명찰 착용 의무화법은 한 달의 유예기간이 끝나고 내달 1일부터 본격 시행된다.
 
의료인과 의대생뿐 아니라 간호조무사, 의료기사는 이름과 면허종류 명칭이 들어간 명찰을 반드시 착용해야 한다. 명찰을 달지 않았다가 적발되면 의료기관장은 과태료 처분을 받는다.
 
당연히 지켜져야 하는 상식을 법으로 강제했다는 점에서 의료인의 자율성을 무시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초등학생 취급하느냐” “자유민주공화국에서 있을 수 없는 행태라는 일부 의사단체의 거센 반발이 십분 이해가 가고도 남음이다. 

하지만 왜 이런 치욕스런 법안이 나올 수 밖에 없었는지 되짚어 볼 필요가 있다. 바둑으로 이야기 하자면 냉철한 복기(復棋)가 이뤄져야 하지 않나 싶다.
 
환자의 믿음을 져 버린 의사들의 비도덕적인 행위가 끊이질 않고 일어난 게 발단이다. 일면식도 없는 의사가 동의도 받지 않고 시술을 했고, 급기야 일부 환자는 목숨을 잃었다.
 
비단 성형외과만의 문제는 아니었다. 국내 최고의 저명 대학병원 산부인과 교수도 유령수술논란에 따가운 질책을 받았다. 의료기기 업체 직원이 마취나 수술을 하는 정형외과도 있었다.
 
신뢰를 기반으로 한 의료계약이 무용지물이 된 상황에 대한 분노가 들끓었고, 여론을 의식하지 않을 수 없는 입법자는 불법행위를 사전에 차단해야 한다는 명분으로 법을 만들었다.
 
법제화가 이뤄지는 동안 의료계는 자발적 근절 노력에 나서주길 바라는 여론의 기대에 부응하지 못했다. 일부 의사의 일탈행위라며 선 긋기에 바빴다.
 
자정노력에 나서겠다고 약속했지만 불법 의료행위를 막기 위한 방안이나 가이드라인을 선제적으로 내놓지 않았다. ‘국민의 신뢰 회복’을 외쳤지만 행동으로 이를 보여주지는 못했다.
 
명찰 착용 의무화, 수술실 CCTV 설치, 설명 의무 강화 등 구체적으로 제시된 방법에 대해서는 안 되는 이유를 나열하기에 급급할 뿐이었다. 비판은 있으나 대안은 없었다.
 
자율징계권이 없어서 불법 의료행위 근절이 어렵다는 논리도 나왔지만 시범사업 중인 '동료평가제'는 유명무실한 상황이다. 

환자안전과 관계된 일에는 침묵하고, 강화되는 규제에 불이익을 받을까 노심초사하는 모습은 또 다른 불신을 낳을 뿐이다. “명찰 착용이 뭐 그리 어려운지 모르겠다. 오히려 반대하는 게 비상식적이다라는 질타가 환자들 사이에서 나오고 있다.
 
의사가 환자 반대편에 서 있다는 인상이 짙어지면 불리하다. 환자와 보호자는 다수이며 약자고 의사는 소수다.
 
국민 생명권을 보장해야 하는 입장에서 정부는 환자안전을 위협하는 행위를 바로잡아야 한다는 여론을 외면하기 어렵다. 법안을 발의하는 의원들 역시 입장이 비슷하다. 그런 측면에서 의료계는 무조건 반대가 아니라 이제는 대안을 제시할 때다.
 
환자와 같은 편에서 유리한 입법을 이끌어내야 한다. 전문가로서 책임 있는 태도를 보여줘야 신뢰가 쌓인다. 반대를 위한 반대는 또 다른 악법을 낳는 악순환의 시작일 뿐이다. 의료계가 거부감이 크겠지만 현실의 흐름을 이해하면서 자존감을 지킬 수 있는 해법을 모색해야 한다고 본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