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리 없이 생기는 대장암, 대장내시경으로 잡는다"
윤진영 교수(강동경희대병원 소화기내과)
2024.02.12 08:40 댓글쓰기

중앙암등록본부 자료에 따르면 대장암은 지난 2022년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암 중 세 번째로 많은 암이다. 사망률도 매우 높아 암 중 폐암, 간암에 이어 3위를 차지하고 있다.


뚜렷한 초기 증상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인 대장암의 가장 좋은 예방법은 정기적인 대장 내시경 검사다.


검사를 통해 암으로 발전할 수 있는 대장용종이나 초기 암을 사전에 정확히 확인하고, 그 즉시 치료까지 가능하기 때문이다. 

 

대장은 소장 끝부터 시작해서 항문까지 연결되는 펼쳐놓으면 70~80cm에 달하는 긴 소화기관이다.


이러한 대장에는 대장 점막 일부가 정상 점막과는 다른 모양을 가지기 시작하면서 주위보다 돌출돼 보이는 용종이 생겨날 수 있다.


이중 악성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있는 용종을 선종이라고 부른다. 선종은 일반 용종의 90% 이상을 차지하며 암으로 진행될 확률이 높아 ‘대장암의 씨앗’으로 불리기도 한다.

 

대장용종은 생각보다 흔하게 나타나는데 40세 이후에는 나이가 들수록 발생 빈도가 높아진다. 원인은 아직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다.


다만 지금까지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체질, 유전, 식생활 습관 등의 여러 가지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용종 발생과 성장이 촉진돼 암으로 발전하는 것으로 추정한다.


"용종(선종) 진단하는데 가장 정확한 검사가 대장내시경"


대장내시경은 이러한 용종(선종)을 진단하는 가장 정확한 검사다. 대장내시경 검사는 항문을 통해 대장에 내시경을 삽입해 염증이나 이 같은 선종이나 종양 등을 진단하게 된다.


또한 이를 발견되면 바로 조직 검사와 제거를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먼저 대장내시경 검사를 정확하게 하기 위해서는 장을 깨끗하게 비워야한다. 의료진 안내에 따라 음식을 조절하고, 장 정결제 복용법을 잘 숙지해야 한다.


시술 전(前) 자신이 복용 중인 약제에 대해 의료진에게 알려야 한다. 특히 아스피린 등의 항응고제나 항혈소판제제 등을 복용 중일 때 약을 처방해주는 담당 의료진과 상의, 시술 3~5일 전에 약제 복용을 중단해야 한다.

 

대장내시경 중 용종이 발견되면 가능한 제거하는 것이 좋다. 특히 앞서 말한 선종의 경우 암(癌) 전 단계이므로 반드시 용종 절제술을 받아야 한다.


용종 절제술은 용종 크기에 따라 방법이 조금 다르다. 5mm 미만의 용종은 작은 기구를 통해 뜯어내거나 전기장치를 이용해 태워서 제거한다.


5mm 이상 용종이라면 대장내시경 하에서 올가미처럼 생긴 철사를 내시경 통로로 삽입해서 절개, 잘라낸다.


"대장암은 병기별로 생존율에 큰 차이가 있어 조기진단과 시술 및 수술 매우 중요"

 

제거된 용종들은 조직 검사를 통해 용종의 구체적인 종류를 판정하고, 대장암으로 발전 가능성 위험도 및 이후 대장내시경 검사의 기간을 결정하는 근거가 된다.


위험도가 낮고 용종이 완전히 절제되었다면 50세 이상이라면 3~5년 후 검사를 권한다. 용종의 완전 제거 여부가 불확실하거나 또흔 여러 개 있었던 경우에는 크기가 1cm 이상이면 보다 짧은 기간 안에 검사받아야 한다.


만약 제거된 용종 조직 검사에서 암세포가 발견되면 추가적인 검사나 수술 등의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대장암은 병기별로 생존율에 큰 차이가 있는 암으로 유명하다. 대장암 1기는 약 90%, 2기는 약 70%, 3기는 약 50%, 4기는 약 10% 전후 정도다. 빨리 검사해서 빨리 발견, 치료하면 그만큼 생존율이 높다.


증상이 없다고 해도 분별잠혈검사는 1~2년 간격, 대장내시경 검사는 5년 간격으로 정기적 검진을 통해 암(癌) 진행을 예방하는 것이 최선이다.



관련기사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