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행(苦行) 자처 JKMS에 쏟은 열정의 11년
홍성태 대한의학회 간행이사
2019.03.11 11:17 댓글쓰기
[데일리메디 박대진 기자] 기대 보다는 우려가 많았다. “괜찮겠어요?”, “해낼 수 있겠어요?” 물음표도 가득이었다. 고행(苦行)을 결심한 그를 향해 만류가 잇따랐다.
 
하지만 의지를 굽히지 않았다. 아니 굽힐 수 없었다. ‘우리나라에도 제대로 된 의학학술지 하나는 만들어야 한다는 사명에 그는 멈추지 않았다.
 
대한의학회에서 무려 11년째 학술지 편집을 책임지고 있는 홍성태 간행이사(서울의대 기생충학교실). 현 장성구 회장을 포함해 그동안 그가 모신 회장만 4명이다.
 
그는 10년이 넘는 세월 동안 대한의학회 학술지 JKMS(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와 동고동락하며 작금의 변화를 이끌어낸 주역이다.
 
2009년 처음 간행이사를 맡을 당시만 해도 격월간이던 JKMS2010년 월간으로, 2018년에는 주간으로 발전을 거듭했다.
 
일반 잡지도 아닌 의학학술지 주간 발행은 여간 고단한 일이 아니다. 실제 아시아에서는 주간으로 발행되는 의학학술지가 전무했고, 전세계적으로는 7개에 불과했다.
 
그래서 더욱 주간 발행으로 가야한다는 생각이었어요. 세계 유수의 학술지들과 대등해지기 위한 변화의 시작이 될 것으로 확신했어요.”
 
뚝심은 통했다. 대한의학회는 지난 2018년 1월 전격적으로 JKMS를 월간에서 주간으로 전환했다. 물론 모든 권한과 책임은 간행이사에게 일임했다.
 
그로부터 1. JKMS의 변화는 성공을 거뒀다. 단 한번의 차질 없이 53개 호가 발간됐고, 343편의 원고가 JKMS를 통해 전세계 의학자들에게 전달됐다.

작년초 '월간→주간' 전환···"한국에도 이런 의학학술지 하나는 있어야죠" 신념 실천
"이제부터 시작, 외국 유명 학술지 아닌 JKMS 통해 연구가치 인정받는 환경 조성"
"아직 인지도 낮지만 궁극적으로 JKMS를 세계적인 의학학술지로 자리매김"
 
 
고무적인 결과에 취할 법하지만 홍성태 간행이사는 지금부터가 시작이라며 손사레를 쳤다.
 
- 우려 속에 변화를 시도했는데 어려움은 없었나요?
 
왜 없었겠어요. 월간으로 발행되던 학술지를 주간으로 전환한다는 것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닙니다. 투고와 출판이 뒷받침 돼야 하고 무엇보다 거의 실시간 편집이 이뤄져야 하는 만큼 한 시도 손에서 놓을 수가 없었죠.
 
- 고행인줄 알면서 고집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간행이사를 맡으면서 가장 안타까웠던 부분이 국내 의학자들의 해외 학술지 투고 선호 상이었어요. 본인의 연구결과를 가급적이면 해외 저명한 학술지에 게재하려다 보니 상대적으로 국내 학술지는 뒤쳐질 수 밖에 없는 현실에 마음이 아팠어요.
 
- JKMS가 국내 의학자들의 목마름을 해소해 줄 수 있을까요?
 
물론입니다. JKMS는 일찍이 SCI 저널로 인정 받았어요. 국제의학학술지편집인위원회(ICMJE) 정식 회원이기도 하구요. 국내 의학자들 입장에서는 굳이 해외 학술지에 투고하지 않더라도 JKMS를 통해 그 연구의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는 환경이 마련돼 있어요.
 
- 피인용지수(IF, Impact Fact)는 어떤가요?
 
JKMS의 피인용지수는 1.588입니다. NEJM(71), Lancet(63), JAMA(61) 등과 비교하면 아직은 미미한 수준입니다. 세계 유수 의학저널과 피인용지수까지 대등하게 하겠다는 것은 과욕이겠죠. 하지만 불가능한 일도 아닙니다.
 
- 방안은 있나요?
 
NEJM, Lancet, JAMA 등의 원고 채택율은 10% 미만입니다. 탈락된 원고 중에는 훌륭한 연구들도 많죠. JKMS는 우선 그 부분을 공략할 생각입니다. 유수 저널과 당장 경쟁하기 보다 전세계 의학자들에게 차선으로 JKMS를 인식시키는 전략을 펼 생각입니다.
 
- JKMS의 투고 상황은 어떤가요?
 
연간 1200편 정도가 접수됩니다. 이 중 300편 정도가 학술지에 실립니다. 채택율은 28.6%입니다. 투고가 게재로 이어진다고 생각하면 큰 오산입니다. 학술지의 생명은 원고의 질이잖아요. JKMS에 투고하는 외국 의학자들도 갈수록 늘고 있어요.
 
- 인지도가 높아졌다는 의미인가요?
 
솔직히 아직은 외국 의학자들에게 JKMS 인지도는 미미합니다. SCI 저널을 찾다보니 JKMS 투고로 이어지는 사례가 많은 것 같아요. 그래서 해외 원고 채택률은 5% 미만으로 낮아요. 국제학술지 구색을 갖추기 위해 질 낮은 원고를 실어줄 생각은 추호도 없어요.
 
홍성태 간행이사의 소신은 확실했다. JKMS를 세계적인 의학학술지로 도약시키겠다는 목표. 하지만 서두르지 않고 뚜벅뚜벅 정도를 걷겠다는 각오다.
 
특히 전문 편집인 제도 도입을 통해 JKMS뿐만 아니라 국내 의학학술지들이 글로벌경쟁력을 갖춰야 한다는 생각도 전했다.
 
아무래도 ‘1인 다역체제 하에서는 학술지의 질을 담보하기 어려운 만큼 전문 에디터를 활용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그는 “좋은 학술지를 만들기 위해서는 좋은 원고와 독자들의 접근성, 여기에 편집 기술이 하모니를 이뤄야 합니다. 국내 의학학술지들의 퇴보와 진보는 이 삼박자에 달려 있다”고 강조했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