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음성 난청, 자각 증상 없이 서서히 악화"
길병원 선우웅상 교수 "젊은층 청력 건강 중요, 경각심 필요"
2023.01.10 14:10 댓글쓰기

최근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젊은층을 중심으로 이어폰 사용이 늘면서 소음성 난청이 증가하고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소음성 난청은 초기 증상이 거의 없기 때문에 경각심을 갖기 어려워 문제점이 크다.


가천대 길병원 이비인후과 선우웅상 교수는 최근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이어폰, 소형 음향기기 등의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소음성 난청이 늘고 있다고 10일 설명했다. 


최근 유무선 이어폰 사용은 비대면 온라인 수업 등의 증가로 10~20대를 중심으로 일상이 되고 있다.


실제 2013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따르면 국내 청소년 4명 중 1명(22.6%)은 하루 평균 80분 이상 음악을 청취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이 같은 수치는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비대면 온라인 수업 증가 등으로 더욱 높아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실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난청 진료 환자는 2020년 63만7000명으로 2010년 39만3000명에 비해 24만명 증가했다.


이 같은 소음성 난청이 문제가 되는 것은 초기 자각 증상이 거의 없다는 점이다. 볼륨을 크게 듣는 사람은 난청이 서서히 진행된다는 것을 모르고 나쁜 습관을 지속하다가 증상이 악화될 수 있다.


소음성 난청 초기에는 고음을 잘 듣지 못해서, 소위 말귀를 잘 못 듣는 것 외에 일상에 특별한 불편함이 없을 수 있다.


하지만, 증상이 지속되면 중저음도 잘 안들려 시끄러운 곳에서 상대 목소리 못듣고 ‘응? 뭐라고? 다시 말해봐’와 같은 말을 반복하게 된다.


잘 안들리기 때문에 이어폰이나 음향기기 볼륨은 더욱 높여 듣게된다. 이런 상태가 지속되면 일상 속 대화가 잘 들리지 않게 된다.


소음성 난청의 주요 증상으로 이명도 있다. 이명은 조용한 곳에서도 귓속이나 머릿속에서 소리가 들리는 듯 한 상태를 말한다.


외부 청력 자극이 없는데 신경이 거슬릴 정도로 잡음이 들려 수면이나 일상생활에 불편을 겪게 될 수도 있다.


선우웅상 교수는 “젊은층 소음성 난청은 청력노화를 가속화할 수 있다. 청각세포 손상은 통상 90dB 정도의 큰 소음에 노출되면 발생하기 시작한다”며 “하지만 적당히 높은 소음에 장기간 노출될 때도 청각세포 손상은 이뤄진다”고 말했다.


소음성 난청은 질환에 대한 경각심이 낮다는 것도 문제다.


선우웅상 교수는 음향기기나 전자기기의 경우 최대 볼륨 50% 이하로 듣는 것을 추천했다.


국내에 유통되는 스마트폰의 경우 15단계 정도로 볼륨 조절이 가능한데, 약 85dB에 해당하는 10단계를 넘어서면 경고 메시지가 뜬다. 가급적 경고 메시지가 뜨기 전(前) 볼륨으로 들어야 한다. 


또한 음악, 영화, 강의 등 오랫동안 음향기기를 사용해할 땐 1시간 사용 후 10분 정도 쉬어주는 등의 주의가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선우웅상 교수는 “소음에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고, 부득이하게 노출될 경우 반드시 방음 보호구 등을 사용해 귀를 보호해야 한다”며 “100세 시대 건강한 청력을 오랫동안 유지하기 위해서는 젊어서부터 평소 청력관리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