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신약 올리타정, 성급한 결론은 금물'
박인숙·성일종 의원 '환자회복 성과 주목-신약개발 독려 지속돼야'
2016.10.07 17:03 댓글쓰기

한미약품 올리타정 허가 과정을 두고 부작용 누락, 늑장 보고 등에 대한 국회의 질타가 이어지고 있다. 또 신속한 심사를 위한 의약품 조건부 허가제도의 문제가 도마위에 오르기도 했다.
 

결국 보건당국이 위법성 여부 조사를 결정한 가운데, 이번 사태에 대한 성급한 결론을 우려하는 의견이 나와 눈길을 끈다. 올리타의 가치는 다른 시각으로 접근돼야 하며, 신약개발 위축을 불러오면 안된다는 것이다.


7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의 식품의약품안전처 국정감사에서 박인숙 의원(새누리당)은 “한미약품의 늦은 발표로 개인 투자자들이 손해를 본 일은 분명 잘못됐다. 하지만 환자 사망에 대해선 (판단이) 어려운 부분이 있다”고 주장했다.


사망원인이 확실한 사망자는 1명이고, 다른 1명은 연관이 있는 경우다. 하지만 다른 한명은 회복했다는 부분을 주목해야 한다는 것이다.


박 의원은 “의사 출신인 제가 알기엔 임상 과정에서 부작용은 경한 것부터 심한 것까지 나올 수 있다. 이 약을 사용했다는 것은 마지막 선택이 될 수 있었다. 무엇보다 회복이 됐다는 것은 중요한 포인트”라고 설명했다.


그는 “부작용 논란 하나로 모든 것을 다 결론내리기에는 성급하다”면서 “부작용에 따라 계약이 취소된 것이 아니라 경쟁약 출시 등으로 이 약의 개발 필요성이 낮아진 이유도 있다”고 덧붙였다.


박인숙 의원은 국가 차원에서의 안타까움도 피력했다. 신약개발에 5000억원이 넘는 돈과 10년 이상 소요됐는데 마지막에 이런 상황에 봉착했다는 것이다.


그는 “조건부 승인에 대한 여론이 좋지 않지만 임상 2상에서 3상을 거쳐서 신약개발에 성공하는 비율이 지극히 낮은 만큼 정부 차원에서 규제들을 빨리 해결해주는 것도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성일종 의원(새누리당)도 박 의원의 의견에 힘을 보탰다. 신약 개발에 대한 규제를 강화할 경우 글로벌 차원에서 경쟁에서 밀릴 수도 있다는 지적이다.


성 의원은 “한미약품의 임상시험은 죽음의 기로를 통과하는 것”이라며 “어떠한 경우에도 기업의 연구나 미래를 향한 투자는 계속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여러 제도의 어려움이 있지만 행정적으로나 법적으로 기업이 미래를 열어가는 득이 되는 연구는 막아서는 안 된다는 것을 감안해 달라”고 주문했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