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공공의료대학원 설립 대응 '범의료계 TFT' 출범
이달 18일 첫 회의, '국민 혈세 낭비 및 국민 피해 방지 최선'
2018.08.20 19:24 댓글쓰기

[데일리메디 정승원 기자] 대한의사협회는 지난 18일 국립공공의료대학원 설립 결정에 대한 대응책 마련을 위한 TFT 첫 회의를 개최했다. 
 

국립공공의료대학원 설립 대응 TFT는 한국의대의전원협회 한희철 이사장과 전라북도의사회 백진현 회장이 공동위원장을 맡았다.

위원회는 의협 및 대한의학회, 한국의학교육평가원, 한국의학교육협의회 등에서 추천된 16명의 전문가들로 구성됐다.


위원들은 회의에서 “의료취약지에 대한 의료인력 확충이 필요하다는 데는 공감하나 천문학적인 비용을 투입하면서까지 국립공공의료대학원을 설립한다는 것이 최선이라는 정부의 논리는 납득하기 어렵다”며 “지역개발 논리에 의한 선심성 정책으로 국민 혈세가 낭비되고 무고한 학생과 국민이 피해를 보는 일이 생기지 않도록 힘쓸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희철 위원장은 “공공의료대학원 설립은 국민건강 증진 및 환자 관리의 첫걸음인 의학교육에 대한 문제”라며 “의학교육과 수련 문제, 비용투입 대비 효과 등에 문제가 있음을 조목조목 따져 서남의대와 같은 실패한 정책이 재현되는 일이 없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 위원장은 “의료취약지를 포함해 정부가 고민하는 공공의료의 진정한 발전을 위한 최선책이 무엇인지에 대해 고민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의협 최대집 회장도 “의료인력 확충은 기존의 40개 의과대학·의전원을 활용해 최소한의 비용으로도 충분히 해결할 수 있다”며 “교육과정이나 입학전형 등 제대로 된 계획안도 없이 급속도로 국립공공의료대학 설립을 추진하려는 것은 설득력이 전혀 없다”고 비판했다.


최 회장은 “정부가 서남의대 폐교 후 두 달 만에 당정협의와 교육부의 단 두 차례 회의로 형식적인 절차만 거친 채 국립공공의료대학원 설립을 결정한 것은 다분히 지역개발 논리에 의한 것”이라면서 “이로 인한 의학교육의 질 하락이 크게 우려 된다”고 지적했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