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당 대선공약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온도차
간협-간호조무사협, '간무사·요양보호사 복합모델' 한시 적용 이견
2017.05.04 05:20 댓글쓰기

간호·간병통합서비스가 대선 정국에서도 뜨겁다. 국민의당이 내걸었던 간호·간병통합서비스 공약에 대해 간호사와 간호조무사들의 온도차가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국민의당은 지방 중소병원에 대한 간호조무사·요양보호사 복합모델을 한시적으로 적용할 예정이라는 공약을 발표한 이후 반대가 이어지자 최근 재검토 계획을 밝혔다.
 

앞서 국민의당은 지난 4월 24일 19대 대선 정책 공약집을 통해 지방 중소병원의 간호·간병통합서비스 확대를 위해 간호조무사·요양보호사 복합모델을 한시적으로 적용하겠다는 공약을 발표한 바 있다.
 

이에 대한간호협회는 환자 안전 뿐 아니라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제도의 근간을 흔드는 처사라며 강하게 비판하고 나섰다.
 

간협 관계자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는 간호사에 의한 전문적 서비스 제공이 원칙”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국민의당도 전문가단체들과의 재검토를 통해 일부 공약에 대한 수정 의사를 전했다”고 밝혔다.
 

특히 간협 측은 “지역 주민들에게 차별적인 간호·간병통합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결국 지역 주민이 지방 중소병원을 외면하게 해 중소병원의 경영 악화를 초래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간호사들의 반발이 이어지자 국민의당은 “당의 기본 원칙은 전문적 간호사가 간호·간병통합서비스를 직접 제공하는 것”이라며 “향후 이와 관련해서 전문가 단체들과 세부적 합의를 통해 검토해 나가겠다”는 수정된 공약을 제시했다.
 

하지만 논란은 여기서 그치지 않았다. 일부 수정된 공약이 발표되자 대한간호조무사협회 측이 아쉬움을 드러낸 것이다.
 

당초 간무협 측은 국민의당이 지방 중소병원들의 간호·간병통합서비스 확대를 위해 간호조무사 투입안을 고려한 것에 대해 환영의 입장을 표했다.
 

간무협 홍옥녀 회장은 “간호·간병통합서비스에서 필요로 하는 간호는 식사보조, 체위변경, 기저귀 간호, 이동 부축 등 기본간호 확대를 통한 ‘낙상사고 방지’와 ‘감염 및 합병증 예방’으로 기본간호 업무를 담당하는 간호조무사 인력 추가 배치가 필수적”이라고 주장해왔다.
 

또한 간무협 측은 “성공적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운영을 위해 일부 선진국과 같이 2년제 전문대 양성 등 간호인력 양성 다각화를 통한 실무 간호조무사 인력 양성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국민의당이 간호·간병통합서비스 확대 공약에 여러 전문가단체와 세부적 합의를 진행하겠다는데 대해 의견을 적극적으로 개진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국민의당은 논란이 된 간호·간병통합서비스 확대 공약에 대해 관련 유관단체들과 향후 세부적 논의를 진행할 예정이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