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원선거 직선제 전환 놓고 간호계 '갈등' 심화
김소선 회장 “간협회장 선거 지적했으나 묵살” vs 협회 “허위사실 유포 중단”
2017.10.24 06:54 댓글쓰기

최근 다시 화두가 되고 있는 '대한간호협회 임원 선거의 직선제 전환 사안'을 두고 간호계 내부 갈등이 심화되는 모양새다.
 

한국간호발전총연합(이하 한간총)은 최근 간협 회장의 직선제 촉구를 위한 10만명 서명운동 등을 전개하며 협회 임원 선거 제도의 변화를 촉구했다.
 

한간총은 “한국의 간호발전을 궁극적인 목적으로 해 총 583명의 발기인이 모여 활동을 시작했다”며 “첫 단계로 18만 간호사의 중앙회인 간협의 임원선거가 공정한 절차에 의해 일반회원 다수가 참여할 수 있는 변화가 시급하다고 판단, 직선제를 추진하기로 했다”고 주장했다.

그간 간호계 내부에서는 비용 문제와 대표성 문제 등을 근거로 직선제 전환에 대한 우려를 표출해왔다.
 

이와 관련, 한간총은 “중앙선관위 선거2과에 의하면 간협 등록회원 18만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투표를 진행하는 경우 선관위 홈페이지로 이용신청서를 접수하고 1인당 370원를 지급하면 된다고 했다”며 “총 예산 소요경비는 6600만 원으로 간협 측이 주장하는 막대한 예산이 들어가는 것이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여기에 한간총 초대회장을 맡은 연세대 간호대학 김소선 교수(서울시간호사회장)는 최근 한 보건의료전문지와의 인터뷰에서 “수년째 간호협회 측에 협회장 선거제도의 문제점에 대해 지적하고 직선제 도입을 제안했지만 묵살당했다”며 “더 이상은 혼자만의 메아리로 끝낼 수 없어 한간총을 발족하게 됐다”고 전했다.
 

이어 김소선 교수는 “지난 임원선가 당시 회장 후보등록제를 갖추지 않는 것 등 선거제도에 대해 문제를 제기했지만 간호협회 측은 개인의 의견으로만 치부해 전혀 논의하지 않았다”고 피력했다.
 

간협 임원 선거의 직선제 전환을 두고 한간총 측이 제시하고 있는 주장에 간협은 유감스럽다는 반응이다.
 

간협 측은 “한간총을 앞세워 협회 임원선거 직선제와 관련된 서명운동을 벌이면서 근거 없는 비방과 의혹을 제기하고 있는 김소선 서울시간호사회 회장에 대해 유감을 표명한다”고 정면으로 반박했다.
 

그러면서 간협은 “김소선 회장이 사실과 전혀 다른 내용을 주장하며 협회 회원, 간호대학생들 간의 반목을 조장하고 있다”며 “(실제 김소선 회장은) 서울시간호사회 회장이자 본회 당연직 부회장이었음에도 본회 이사회, 대표자회의, 대의원총회에서 직선제 도입을 주장한 바 없다. 오히려 2015년 2월 대표자회의에서 대의원총회 직선제 안건 상정 여부를 의결할 때 기권했었다”고 선을 그었다.
 

이어 “2016년 2월 개최된 대표자회의에서 정기 대의원총회 상정안건으로 서울시간호사회는 회원 500명 이상의 추천받은 자를 회장 후보로 등록하는 회장후보 등록제와 임원후보 사전등록제를 제출했으나 논의 후 부결됐고 정작 상정 안건을 제출한 김소선 회장은 이 회의에 불참했다”고 강조했다.
 

협회 각 지부별로 회원 규모가 다른 만큼 선거에 있어 가중치도 차별화돼야 한다는 김소선 교수 주장에도 날선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간협은 “UN과 ICN(국제간호협의회)에서는 의사결정 시 인구수와 회원 수를 반영해 가중치를 적용하고 있지 않다”며 “(서울시간호사회의 경우) 등록회원의 25%를 넘기 때문에 서울시간호사회장에게는 당연직 부회장과 운영위원 등의 자격이 자동적으로 주어짐에도 김소선 회장이 가중치를 운운하는 것은 상황에 맞지 않는 주장”이라고 꼬집었다.
 

이어 간협은 “김소선 서울시간호사회장이 지금까지의 회원들과 간호대학생들에게 밝혀온 거짓 주장을 즉각 철회하고 협회 중앙회 임원으로서의 활동에 전념해 주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