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학 첫 '표준진료지침' 개발 착수
복지부, 전담위원회 발족…연내 30개질환 우선 선정
2015.08.03 12:00 댓글쓰기

‘비방(秘方)’이란 명분 하에 과학화의 길을 걷지 못했던 한의학의 표준진료지침 개발 작업이 시행된다. 치료의학으로의 정체성 확립이 목표다.

 

보건복지부(장관 문형표)는 한의약 표준화 및 과학화 기반 조성을 위해 ‘근거중심 한의약 추진위원회’를 발족하고 오는 4일 한국건강증진개발원에서 첫 회의를 개최한다.

 

한의약의 경우 그 동안 같은 질환에 대한 치료방법 편차가 심하고, 과학적 검증이 이뤄지지 않은 치료법이 시행되는 등 치료의학의 한계에 부딪쳐 왔다.

 

또한 의료기관, 의료인별 상이한 진료방법은 치료의학으로서 발전을 저해하고, 한의약 국제화에도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이에 한의계와 복지부는 근거중심 표준임상진료지침 개발이 시급한 과제라는데 의견을 모으고, 연구 근거를 활용한 표준화 작업에 착수키로 했다.

 

이를 위해 범한의계가 참여하는 ‘근거중심 한의약 추진위원회’를 발족하고, 본격적인 논의에 들어간다. 위원회에는 한의사협회, 한방병원협회 관계자 등 10명으로 구성된다.

 

위원회는 우선 올해 중으로 30개 질환을 우선 선정, 내년부터 2021년까지 순차적으로 진료지침을 개발한다는 계획이다.

 

이번에 선정하는 30개 질환에 대해서는 충분한 임상연구를 병행해 근거중심 진료지침을 개발하는 대신 그 과정에서 한의약의 특성을 충분히 고려한다는 복안이다.

 

개발된 진료지침은 대학 교육과정, 보수교육, 한방공공보건사업 등에 사용될 수 있도록 하고, 일선 의료기관까지 확산되도록 수가 개발 과정에도 활용할 예정이다.

 

복지부 관계자는 “이번 진료지침 개발이 근거 중심의 한의약 발전을 유도해 국민 신뢰 증대로 이어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어 “진료지침 개발 시 한의약 진료비용과 치료효과 간 최적의 조합 모색이 가능함에 따라 건강보험 보장성 확대를 통한 접근성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