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계, 비상사태 선포…비대위 체제 전환
2006.12.20 03:20 댓글쓰기
한·미 FTA 협상에서 한의사 자격의 상호 인정 여부가 논의된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대한한의사협회의 대응이 심상치 않다.

미국측이 한국 시장 개방을 요구했다는 보도가 나간 뒤 강력 반발해 온 한의사협회가 비상사태를 선포, 비상대책위원회 체계로 전환하고 나선 것.

한의협 최정국 홍보이사는 “한의사의 존망이 걸려 있는 중대한 사안이라고 전국이사회에서 판단한데 따른 것”이라면서 “전국 한의사는 물론 학생들까지 일심 단결해 정부에 대응할 것이다”고 강경한 입장을 내비쳤다.

실제로 한의사협회는 비상대책위원회 위원장직을 이례적으로 회장이 직접 수행하도록 하는 방침을 검토하고 있을 정도로 이번 사태를 심각하게 바라보고 있다.

한의협 정관에는 비상대책위 위원장은 수석부회장이 맡도록 돼 있으며 회장이 위원장으로 논의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최정국 이사는 “협회가 생긴 뒤 처음 있는 일로 오늘(20일) 중 결정될 것”이라면서 “위원장이 정해지면 바로 강경 투쟁이 시작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의협은 일단 정부에 한미FTA의 전문직 자격 상호인정에서 한의사는 협상대상이 될 수 없으며 향후 미국과 거론치 않겠다는 원칙을 대내외에 명확하게 밝힐 것을 촉구하는 성명서를 발표했다.

한의협은 또 성명서에서 이번 사태를 촉발한 한국측 대표단의 즉각 사퇴와 모든 한방의료정책에 관한 한 협회와 사전 협의할 것을 요구했다.

장외 투쟁 계획도 이미 잡혔다. 한의협은 23일 비상대책위 임시대의원회 회의를 연 뒤 29일에는 전국 1만7천여 한의사들이 총 집결, 과천 정부 청사앞에서 장외투쟁을 벌인다는 방침이다.

한의협 관계자는 “국민 건강권 수호와 민족의하 사수를 위해 협회의 요구가 관철될 때까지 무기한 투쟁에 돌입할 것”이라고 피력했다.

관련기사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