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국 집안 싸움 끝에 약(藥) 편의점으로 가나
2012.02.14 08:00 댓글쓰기
[분석]결국 집안싸움 끝에 민초 약사들의 공분만 커지는 모양새다.

지난 13일 약사법 개정안이 결국 국회 법안심사소위원회를 통과함에 따라 의약품 편의점 판매가 현실에 보다 가까워졌기 때문이다.

이러한 결과는 이미 예고된 상황이었다.

최근 약사회 새 비상대책위원회 위원장으로 선출된 박영근 수석부회장은 이번 일과 관련해 그 동안 약사회 비상투쟁위원회 상황실장을 맡아오면서 김구 회장 및 집행부와 호흡을 맞춰왔기 때문이다.

지난해 말, 김구 회장이 이끈 집행부는 물밀듯이 밀려오는 여론과 보건복지부의 의지에 따라 차선책으로 의약품 약국외 판매에 대한 전향적 검토를 하겠다고 결정한 바 있다. 결국 그 노선이 그대로 이어진 셈이다.

다만 3분류 체계 내용을 담은 약사법 개정안의 국회 통과 시 편의점에 들어설 의약품들이 겉잡을 수 없는 범위로 확대될 것을 우려, 2분류를 유지시킨다는 입장이었다.

이 과정에서 한 톨의 약도 약국 밖으로 나갈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한 대다수 회원들의 분노는 점차 커지면서 결국 임시대의원총회를 열고 투표까지 진행했지만, 결과적으로 1표 차이로 복지부와의 협의는 그대로 진행키로 했다.

그러나 반대파들의 의견을 존중, 김구 회장 및 집행부는 이 건에 대해 2선으로 물러나면서 그 동안의 약사회 행보와 반대 양상이 기대됐다. 새롭게 구성될 비상대책위원회 위원장으로 강경파인 서울시약사회 민병림 회장과 경기도약사회 김현태 회장이 물망에 올랐기 때문이다.

결과는 약사회 집행부가 완전히 사퇴하지 않을 경우 비대위 위원장을 맡을 수 없다는 이들의 입장에 결국 비대위원장 추대가 물거품 됐다. 김구 회장과 집행부는 현재 이번 건을 제외한 회무를 그대로 맡고 있다.

따라서 김구 회장과 함께 일해 온 측근들이 그대로 이번 일을 맡게 되면서 민초 약심들을 달랠 수 있는 동력은 애초에 가동될 수 없었던 것으로 풀이된다.

결국 앞서 열린 임시대의원총회는 반대파들의 의견만 확인한 채 일종의 에피소드로 끝나게 됐다. 전체회의 상정과 법안심사소위원회 통과까지 이뤄진 이상, 여론은 더욱 집중되고 있는 가운데 되돌아가기에는 먼 길을 왔다는 관측이다.

약사회는 13일 법안심사소위원회 앞서 제3차 회의를 열고 2분류 체계를 유지, 편의점 의약품 명칭을 ‘안전상비의약품’으로 결정했다. 이 같은 내용은 소위원회에 전달돼 결국 개정안에 새로운 문구가 추가됐다.

앞으로 복지위 전체회의와 법제사법위원회 심의 의결 절차를 남겨놓은 상태다. 약심은 국회 본회의 무산만을 기다리고 있다.

약사회 현 집행에 대해 강력히 반대 의견을 던져온 ‘약사들의 미래를 준비하는 모임’의 김성진 회장은 전화통화에서 “약사회 비대위는 임시대의원총회에서의 민의를 제대로 반영하지 않았다. 현재 민주당 측이 국회 본회의를 거부하고 있는 상황이지만 어떻게 될지는 모르는 일”이라고 비탄했다.

김 회장은 이어 “타이레놀이 약국 밖으로 나간다고해서 약국이 다 망하지는 않는다. 다만 약사 면허의 자존심이 걸린 일”이라며 “국회 본회의가 무산되길 바랄 뿐”이라고 전했다.

관련기사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