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료정보 유출 醫↔藥 연일 날선 공방
'후안무치 망언 도 넘어' 공격하자 '대국민 사과 후 재발 방지' 촉구
2015.08.10 11:32 댓글쓰기

약학정보원의 PM2000 환자 정보 유출 사태를 둘러싸고 대한의사협회와 대한약사회의 날선 공방이 연일 이어지고 있다. 

 

의협은 "약정원과 약사회가 다른 몸체라면 사법적 책임을 두려워해서는 안 된다"고 재반박에 나섰다.

 

앞서 의협은 최근 검찰의 기소로 밝혀진 환자정보와 진료정보의 유출 건에 대해 강하게 질타한 바 있다.

 

그러자 약사회는 즉각 "의협의 후안무치 망언이 도를 넘었다"며 공세적 대응에 나섰다.

 

약사회는 "비록 독립된 재단법인인 약정원 사안이기는 하나 의협이 왜곡된 비난 공세를 계속할 경우, 부당한 행위들에 대한 가차없는 비판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경계했다.

 

약사회는 "환자정보를 돈 거래 수단과 상업적 목적으로 악용했다고 하는 데 의약품 정보와 환자 정보는 다르다"며 "어떤 질병의 경우 어느 약을 많이 사용했는지 알아보는 정보였을 뿐"이라고 해명했다.

 

이어 "의협의 후안무치한 행위가 계속된다면 더 이상 그 부당함을 좌시하지 않겠다"며 "의협의 대오각성을 거듭 촉구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의협은 "국민 건강을 책임지고 있는 의료계 입장에서 환자정보와 함께 진료정보가 무단으로 상업적 판매된 것에 대한 공정한 수사 촉구가 어떻게 후안무치한 행동인가"라고 반문했다.

 

의협은 "PM2000 프로그램의 부적격 여부와 무관하게 사용 허가에 대한 판단은 보건복지부의 권한에 속하는 것"이라며 "유해프로그램의 사용 정지 요구는 당연한 절차"라고 잘라 말했다.

 

더욱이 약정원의 '어떤 질병에 어느 약을 많이 사용했는지를 알아보려는 정보였다'는 해명은 권한 외의 월권이자 상업적 거래 목적이 있었다는 점을 방증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의협은 "현재도 처방약의 사용 현황은 심평원을 통한 정보공개 청구를 통해서 얻을 수 있"며 "문제는 사전고지 없이 통계 및 거래가 이뤄졌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의협은 "약사회는 독립된 재단법인이라고 주장하는 약학정보원의 사안에 깊이 관여하는 이유에 대해 보다 명확한 해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어 "그렇다면 약학정보원의 유죄 판결에 대한 책임까지도 함께 할 수 있는 지 묻고 싶다"고 덧붙였다.

 

약사회가 언급한 과거 의협의 해킹 사건에 대해서도 불편한 심기를 드러냈다.

 

의협은 "이미 사법부 조사가 끝나고 사후조처가 완료된 해킹 사건은 약정원의 파렴치한 진료 정보의 상업적 이용 및 판매 사건과는 본질적으로 다른 사안"이라고 맞받아 쳤다.

 

그러면서 의협은 "국민이 약사회에 원하는 것은 대국민 사과 후 재발 방지를 위한 노력"이라며 "진정한 반성 후 전향적인 개선 노력을 기울이는 전문가 단체의 책임 있는 자세를 보여달라"고 촉구했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