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남의대 사학비리 희생양 ‘광주적십자병원’
대학병원 변신 물거품되고 도심 '흉물' 방치···민간 매각 논란 가열
2020.04.24 05:36 댓글쓰기
<사진제공 연합뉴스>
[
데일리메디 박대진 기자] 5.18 민주화운동의 사적지인 옛 광주적십자병원이 사학비리의 소용돌이 속에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질 위기에 놓였다.
 
1955년 설립돼 공공의료를 수행해오던 광주적십자병원은 1980년 민주화운동 당시 부상당한 광주시민을 치료했던 곳으로, 5.18 사적지 제11호로 지정돼 있다.
 
당시 긴급 수혈이 필요한 환자가 즐비하다는 소식에 일반 시민들이 대거 헌혈에 참여하는 등 광주시민의 단결력과 민주화 항쟁의 아픔을 함께 한 역사의 현장이었다.
 
하지만 다른 지역 적십자병원들과 마찬가지로 경영난에 고전하면서 1995년 학교법인 서남학원에 매각돼 서남의대 부속병원으로 탈바꿈했다.
 
서남학원은 1994년 의과대학 인가를 받았고, 광주적십자병원을 비롯해 남광병원 등을 잇따라 인수하며 의과대학 육성에 남다른 의욕을 쏟았다.
 
민주화운동 사적지가 대학병원으로 거듭나면서 광주시민들의 기대감도 컸다. 하지만 옛 광주적십자병원의 화려한 부활은 오래가지 못했다.
 
서남학원이 사학비리에 휩싸이면서 의과대학 폐과 결정이 내려졌고, 부속병원 역시 2014년 문을 닫아야 했다. 이후 6년이 넘도록 도시의 흉물로 방치돼 있는 상황이다.
 
재단 측은 구조조정을 위해 자산 매각을 결정했다. 민주화운동의 사적지인 옛 광주적십자병원 역시 사학비리 악재에 매물로 나왔다.
 
광주시민들은 동요했다. 5.18 역사와 정신이 면면히 흐르고 있는 옛 적십자병원이 또 다시 사유화될 경우 보존을 장담할 수 없다는 우려가 곳곳에서 제기됐다.
 
급기야 광주광역시가 지난해 8월 교육부의 처분 허가 승인과 함께 적십자병원 매입에 나섰지만 서남학원 청산인 측과의 가격 협상에 실패했다.
 
결국 서남학원 측은 최근 옛 적십자병원 공고를 내고 경쟁입찰 방식의 매각 절차에 돌입했다. 현재 감정평균가(최저입찰가)884944만원이다.
 
적십자병원 매입을 추진 중인 광주시는 5월 중순 추경을 통해 입찰금액 90억원을 마련한다는 방침이었다.
 
하지만 공고기간이 53일로 완료됨에 따라 매입 계획에 차질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5·18 단체들도 민주화운동의 상징적 공간인 옛 광주적십자병원의 민간 매각 중단을 촉구하고 나섰다.
 
5.18기념재단과 유족회부상자회구속부상자회 등은 “5·18의 역사적 현장인 옛 광주적십자병원의 민간 매각을 반대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당시 계엄군의 총칼에 부상을 당한 시민들이 치료를 받고 목숨을 건진 옛 광주적십자병원은 민주화운동과 광주 공동체 정신을 상징하는 공간이라고 말했다.
 
이어 민간에게 매각돼 원형이 훼손되고 철거되는 것은 용납할 수 없다서남학원 청산인은 민간 매각을 즉각 중단하고 광주시민의 품으로 돌려줄 방안을 강구하라고 덧붙였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