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다공증 후 골절 사망률 17%···고령시대 대책 시급
“약제 급여화 범위 확대 등 약복용 모니터링 강화, 환자관리법 필요”
2019.05.31 06:45 댓글쓰기
[데일리메디 박성은 기자] 국내에서 골다공증으로 인한 골절로 사망에 이르는 경우가 약 17%에 이른다는 소식이다. 이는 유방암 및 전립선암의 사망률과 비슷한 수치다.
 
사망에 이르지 않더라도 골다공증으로 인한 골절 후에는 회복이 어렵고 거동이 불가하게 되는 경우가 많기에 환자 본인 및 가족들 삶의 질이 상당히 많이 낮아진다.
 
금년 설립 30주년을 맞은 대한골대사학회는 30일 제31차 춘계학술대회에서 의료계, 정부, 국회, 언론 등에서 다양하게 패널을 모아 골다공증 치료환경 개선을 위한 정책 토론회를 진행했다.
 
의료계 전문가들은 골다공증 치료를 위해 환자의 약복용이 관건이라며 이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코디네이터 제도를 마련할 것을 촉구했다.
 
또한 골다공증에 있어서는 골절 후 치료뿐만 아니라 예방도 중요하기에 만성질환관리제도와 같은 방침을 마련해야 한다는 견해다.
 
예방을 강화하기 위한 대책으로 약제 급여화 범위를 골다공증 이전 단계인 골감소증까지 확대하고 대중을 대상으로 골다공증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워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하용찬 중앙대학교 정형외과 교수에 따르면 골다공증으로 인한 골절환자 중 상다수는 약 복용을 중단하고 충분한 치료를 받지 않아 재골절을 겪는 상황이다.
 
하 교수는 이를 방지하기 위한 대책으로 코디네이터 프로그램을 제시했다. 이는 실제로 미국, 호주, 영국 등 30개국에서 시행하고 있는 대표적인 재골절 예방 시스템이다.
 
노인 골절환자 발견 시 즉각 프로그램을 가동하고 병원과 연계해 골다공증 유병 여부 확인 및 골다공증 치료, 운동, 식이요법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적절한 치료를 받게 한다.
 
골절 전(前) 골다공증 환자 사망률은 2%지만 골절이 발생하는 순간 17%로 급증하는 ‘조용한 도둑’ 골다공증은 지속적인 치료만큼 사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치료 지속과 골다공증 발생을 막을 방법으로 약제 급여화 범위 확대가 제안됐다. 
 
현행 우리나라 의료보험 제도에서는 골밀도 수치인 T-score가 –2.5 이하로 저하된 골다공증 환자만이 치료 대상자로서 보험 급여를 받을 수 있다.
 
김태영 건국대학교병원 정형외과교실 교수는 “골다공증 이전 단계인 골감소증에서부터 골절 발생 가능성이 높다며 보험 급여화해 약을 복용할 수 있게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더불어 “약 복용 후 일시적으로 완화된 골다공증 환자에게 약제에 대한 보험 급여를 중단하지 말아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환자들이 골다공증 위험성을 인지하고 치료 및 예방에 나서지 않으면 잘 갖추어진 의료보험제도도 무용지물이 된다.
 
조호찬 계명의대 내분비내과 교수는 “현재 골밀도 진단에 대한 보험 급여는 충분히 이뤄지고 있지만 여전히 진단 및 치료를 적절히 받지 않는 환자들이 많다”며 환자 인식 제고를 강조했다.
 
정부, 내년부터 골다공증 보장성 강화 단계적 진행
 
정부는 지난 4월 발표한 제1차 건강보험종합계획에서 명시한 바와 같이 2020년부터 골다공증에 대한 보장성 강화를 단계적으로 진행하겠다는 입장이다.
 
최경호 보건복지부 보험약제과 사무관은 골감소증까지의 약제 급여화 의견에 대해 최근 스테로이드제 사용에 대한 급여가 확대된 것을 예로 들어 “가능성이 있으며 적극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만성질환으로 정의되는 여타 질환에 비해 골감소증 및 골다공증은 주목받지 못한 부분이 확실히 존재한다. 급여화를 통해 중요성을 강조하는 방향이 맞다고 본다”고 말했다.
 
특히 질병 진행 정도에 따라 본인부담률을 차등 부과하는 선별급여 검토에 대해 “약속할 수 있는 부분”이라며 적극 실행 의지를 표했다.
 
김영택 질병관리본부 만성질환관리과 과장은 새로운 약제와 치료요법 도입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또한 “만성질환에 대한 예방 및 관리에 대해서는 정책 및 제도가 불비된 상태”라며 조기발견관리와 지속관리 사업의 필요성에 대해 공감을 표했다.
 
그는 또 “골다공증으로 골절, 재골절, 사망까지 이어지는 과정에 대해 정부 차원에서 환자 중심의 추적조사를 진행할 필요를 느꼈다”고 말했다.
 
질병의 심각성에 대한 대국민 홍보 방안에 대해 김영택 과장은 "대한가정의학회와 함께 예방 관련 홍보를 추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그는 더불어 “학계에서도 관련 통계자료를 마련하는 데 힘써줬으면 좋겠다”고 당부했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