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메디 백성주 기자] 인천 지역에서 수액주사를 맞은 환자가 사망하는 사건이 지난 한달 간 3건이나 발생하면서 ‘수액주사 공포’가 확산되는 모습이다.
게다가 작년 벌레 및 이물질 수액에 이어 최근 서울의 한 대형병원에서 사용기한이 8개월 지난 제품을 투여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수액에 대한 환자들의 불신감도 커지고 있다.
사망 사건을 수사중인 경찰은 의료진이 투약 과정에서 오염된 의료도구를 사용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지만 해당 수액을 공급하는 제조사 및 유통업체는 비상이 걸렸다.
1일 업계에 따르면 의료진 과실 등에 초점을 맞춘 경찰 수사와 별개로 수액 제조사들은 사망사건에 연루된 제품 파악에 분주한 상태다.
하지만 개원가에는 지역 유통업체를 통해 공급되는데다 가격과 물량에 따라 제품이 달라질 수 있어 파악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사건이 발생한 인천 소재 의원에서도 국내 제조 3사 제품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따라서 당시 어떤 제품을 사용했는지 확인되지 않는 상태다.
상황을 예의주시 하고 있는 A사 관계자는 “의원급 의료기관은 소매업체에서 제품을 가져가기 때문에 확인하기가 쉽지 않다”고 어려움을 호소했다.
다만 수액을 투여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제품과 의약품을 섞어 사용하는데 이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했을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하고 있다.
해당 수액을 제조한 B사의 경우 말을 아꼈다. 다만 인천지역 사망사건에 대해서는 감염의 문제라는 사실을 분명히 했다.
B사 관계자는 “수액과 관련된 사망 사고인 만큼 회사에서도 어느 제품인지 확인을 하려고 했는데 의원 급에서 주사하는 수액까지 모두 확인하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업계에선 대부분 사망사고의 원인이 감염으로 밝혀지고 있는 만큼 의료진의 확인으로 충분히 예방 가능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제품 문제로 오인, 환자들의 수액 기피현상 발생 우려도 제기했다. 사고 발생의 피해가 고스란히 업계가 떠안을 수 있다는 지적이다.
C사 관계자는 “어느 회사 제품이냐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고 강조했다. 연간 2억개에 달하는 수액제품을 생산하는데 모든 제품이 완벽할 수는 없다는 것이다.
다만 문제가 있는 제품이 생산될 가능성이 있는데 의료기관에서 사용 전 확인하면 충분히 예방 가능한 수준이라는 설명이다.
그는 “원칙적으로 의료진이 수액을 사용하기 전 상태를 확인해야하는데 이런 과정이 더 체계적으로 이뤄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