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난현장 투입 100병상 '이동형 병원' 구축
복지부·NMC, 15일 출범식…응급의료 종사자 대상 교육·훈련 시행
2017.12.14 12:05 댓글쓰기

대형 재난 발생시 현장에서 높은 수준의 의료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이동형 병원’이 국내에 처음으로 선보인다.


최대 100병상 규모를 갖춘 이동형 병원을 통한 실전 교육 및 훈련 시행으로 현장 응급의료 대응 수준이 크게 향상될 전망이다.


보건복지부와 국립중앙의료원은 오는 15일 충남 천안의 포스코 A&C 모듈러공장에서 이동형 병원 출범식을 개최한다고 14일 밝혔다.


이동형 병원은 재난 현장에서 외상환자의 수술 및 중증환자 모니터링이 가능한 최대 100병상 규모다.


응급실, 수술실, 중환자실, 입원실, 외래, 진단검사실, CT실, 식당 및 숙소 등 이름 그대로 일반적인 병원의 주요 시설들로 구성됐다.
 
특히 기능별 모듈 방식으로 제작돼 재난 상황에 따른 맞춤형 운영이 가능하다.


가장 신속히 출동할 수 있는 응급실 중심의 소규모 형태에서부터 대규모 혹은 장기 재난 시 수술, 중환자 감시, 입원실 운영 등의 기능을 갖춘 최대 규모 형태까지 갖췄다.


이날 출범식에는 보건복지부, 지자체, 국립중앙의료원, 응급의료기관, 학·협회 관계자 등이 참석, 이동형 병원 도입 경과보고 및 소개 영상 상영, 이동형 병원 출범을 알리는 테이프 컷팅식 등을 진행할 예정이다.


강도태 보건복지부 보건의료정책실장은 “이동형 병원은 타 선진국과 비교해도 손색이 없는 우수한 시설·장비 인프라를 갖췄다”면서 “대규모 국가 재난 시 현장응급의료의 중추적 역할을 할 것”이라고 기대감을 전했다.


복지부는 향후 이동형 병원을 활용해 재난의료지원팀(DMAT, Disaster Medical Assistance Team) 및 응급의료종사자를 대상으로 실전적인 교육·훈련을 실시할 예정이다.


강 실장은 “국가 재난뿐만 아니라 대규모 행사 시 다수 사상자 발생을 대비한 의료 지원에도 적극적으로 동원하는 것을 고려하겠다”고 강조했다.


DMAT는 재난 및 다수사상자 발생 시 현장 응급의료를 담당하는 재난의료지원팀으로, 전국 40개 재난거점병원별로 3팀 이상 구성(팀당 의사 1명 이상, 간호사·응급구조사 2명 이상, 행정요원 1명 이상)돼 있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