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용 삼성생명공익재단 이사장 '오비이락'
메르스 확산으로 병원 부분 폐쇄이어 15일 국회서 기부금 집행 등 의혹 제기
2015.06.15 20:00 댓글쓰기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사진 左]이 삼성생명공익재단 이사장 취임 2주 만에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확산으로 삼성서울병원 부분폐쇄라는 시련에 부딪쳤다.

 

지난달 15일 이재용 부회장은 5월 30일 임기가 만료되는 이건희 회장의 후임으로 삼성생명공익재단 이사장에 선임된 바 있다.

 

삼성그룹의 승계를 상징하는 삼성생명공익재단 이사장 자리에 오르자마자 오비이락(烏飛梨落) 격으로 재단 산하 병원이 설립 이래 처음으로 부분폐쇄라는 위기를 맞은 것이다.

 

일각에서는 이재용 부회장이 더 이상의 메르스 확산을 방지하고자 직접 부분폐쇄 결단을 내렸을 것이라는 해석도 나오고 있지만 이번 사태가 이재용 부회장의 리더십에 타격이 줄 것이라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특히 그룹 총수인 이건희 회장이 병원 VIP병실에 장기간 입원해있는 가운데 병원이 감염병 대응을 제대로 하지 못하며 이건희 회장의 거취마저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한다'는 구설수에 오르고 있는 상황이다.

 

실제 병원에 한정됐던 감염관리 부실 비판은 점차 삼성생명공익재단 및 삼성그룹을 향한 비판으로까지 번지고 있다.

 

부분 폐쇄 첫날인 15일 국회에서는 삼성서울병원의 적자를 보전하는 삼성생명공익재단의 기부금 집행, 기부금 제공 과정이 상속·증여세 면제의 위법성 의혹이 제기되기도 했다.

 

새정치민주연합 박영선 의원은 “삼성생명공익재단은 대대로 삼성그룹의 오너가 이사장을 맡아 왔고 삼성 계열사의 기부를 받아 삼성서울병원의 적자를 메우는 상황”이라며 “재단의 기부금 집행, 기부금 제공 과정에 대해 국가가 조사하고 필요하다면 관련법을 개정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삼성생명공익재단은 약 2조원의 자산을 보유하고 있지만 이중 4% 정도인 820억원만 공익사업에 사용하고 나머지 96%인 1조8736억원을 수익사업으로 삼성서울병원 운영에 사용하고 있다는 것이 박 의원의 주장이다.

 

이외에도 메르스 사태로 삼성서울병원은 ‘삼성’이라는 브랜드 이름을 단 ‘재벌병원’ 이미지가 부각되면서 오해와 눈총도 커져가고 있다.

 

확진 판정을 받은 이송요원(137번 환자)이 격리대상에서 누락됐던 사실을 두고도 일각에서는 삼성서울병원이 감염관리 대상에서 정규직과 비정규직을 차별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이에 대해 삼성서울병원은 “이송요원이 비정규직이라서 명단파악에서 빠졌다는 내용은 사실이 아니다”라며 “정규직, 비정규직을 구분하지 않고 노출자를 파악했다”고 밝혔다.

 

병원은 "137번 환자 이외에 5월 27일부터 29일 사이 14번 환자에 노출된 이송요원 7명을 파악하여 자가격리 조치를 취했고, 미화원 6명, 병동 보조요원 17명도 파악해서 조치를 취했다"고 덧붙였다.

 

이 같이 삼성서울병원의 메르스 방역관리 실책은 그동안 병원운영과는 선을 그었던 삼성생명공익재단은 물론 삼성그룹에까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