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 모바일 활용 건강관리사업 추진
원격의료 논란 와중 9월 전국 10개 보건소 1000명 시범 실시
2016.05.18 12:37 댓글쓰기


원격의료를 둘러싼 논란이 여전한 가운데 정부가 모바일을 활용한 건강관리사업 추진을 선언해 귀추가 주목된다
.

 

정부는 원격의료가 아님을 분명히 했지만 의료계는 같은 맥락으로 받아들일 공산이 큰 만큼 향후 또 다른 갈등을 유발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보건복지부(장관 정진엽)는 오는 9월부터 내년 2월까지 전국 10개 보건소에서 건강위험 요인이 있는 1000명을 대상으로 모바일 헬스케어 시범사업을 진행한다고 18일 밝혔다.

 

복지부는 예방적 건강관리에 대한 보건소 기능 강화 필요성과 건강관리 목적의 스마트기기 사용 증가 등을 반영, 미래창조과학부와 함께 모바일 헬스케어 시범사업을 추진키로 했다.

 

모바일 헬스케어는 환자가 아니더라도 건강위험요인이 있는 사람을 대상으로 ICT와 검진결과를 활용해 맞춤형 건강관리를 제공하는 사업이다.

 

전국 10개 보건소에서 건강검진 대상자 중 만성질환 위험요인을 갖고 있는 1000명을 대상으로 하며 건강 취약계층의 의사에 따라 우선 지원할 예정이다.

 

보건소는 의사, 간호사, 영양사 등이 포함된 모바일 헬스케어 전담팀을 운영하고, 서비스 이용자는 보건소를 방문해 상담을 받은 후, 필요한 기기를 무료로 지급받고 사업에 참여한다.

 

모바일을 통해 건강수치, 건강생활 실천 여부 등에 관한 사항이 자동으로 측정전송되고, 생활습관 개선을 위한 미션과 건강상태운동영양 등 영역별 전문상담도 받게된다.

 

6개월이 지난 후 보건소를 방문해 건강상태 및 나쁜 생활습관 변화 여부 등 건강위험요인 개선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번 시범사업은 만성질환 증가에 따라 보건소가 건강증진사업에 더욱 집중할 수 있도록 각계의 전문가들과 논의해 추진한다.

 

시범사업 추진위원회가 3월부터 운영돼 시범사업 기획, 운영 및 평가에 관한 사항을 논의하고, 한국건강증진개발원은 사업 관리, 보건소 인력 교육 등을 담당한다.

 

복지부는 시범사업을 통해 모바일 헬스케어의 효과적 모형을 마련한 후, 전국 보건소에서 건강증진사업으로 모바일 헬스케어가 본격 시행될 수 있도록 추진할 계획이다.

 

추진위원회 위원인 인제대학교 가정의학과 강재헌 교수는 다수의 국민이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상황에서 모바일을 통한 건강관리는 만성질환 예방에 효과적일 수 있어 시범사업 의미가 크다라고 평가했다.

 

복지부 관계자는 모바일 헬스케어가 전국 보건소로 확대되면 보다 많은 사람들이 예방적 건강관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건강생활을 실천하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다라고 말했다.

 

한편 복지부는 오는 20일 오전 10시 서울 AW컨벤션센터에서 지자체를 대상으로 모바일 헬스케어 시범사업설명회를 개최한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