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스피스 의료에 대한 인식 전환·제도 개선 필요'
김현기 원장(강남효요양병원)
2013.12.22 20:00 댓글쓰기

모든 사람은 죽음 앞에서 숙연해지기 마련이다. 죽음을 받아들인다는 것이 쉽지 않지만 피할 수 없는 필연이라면 조금 더 편안하고 겸허하게 받아들이려고 하는 이들이 늘고 있다.

 

수명 100세 시대에 잘 먹고 잘 사는 것 못지 않게 고통 없이 편안하게 죽음을 맞이 하는 것 또한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때문에 인간 존엄성을 지키며 임종을 맞이하는 방법들이 사회적인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웰다잉(well-dying) 방법 중 하나로 호스피 의료가 있다. 호스피스 완화의료는 암, 뇌졸중 등 중증 만성질환 환자들에게 완치를 목적으로 하는 치료 행위가 더 이상 무의미해질 때 치료 목적이 아닌 임종 전까지 통증을 경감시키면서 심신의 안정을 찾고 편안히 죽음을 맞이할 수 있도록 보살펴주는 의료를 말한다.

 

통증 치료 이외에도 환자와 가족들에게 영적, 심리치료 등을 통해 죽음을 받아들이고 아름다운 죽음을 준비하도록 하는 과정 전체가 여기에 속한다. 이러한 의료를 선택하는 대부분의 환자들은 말기암 환자들이다.

 

호스피스 의료에 대한 선입견 중 하나는 더 이상 소생 가능성이 없는 사람들이 가는 곳이라는 생각이다. 하지만 호스피스 의료는 단순히 이러한 의미를 넘어 고통을 최소화하는 완화의료의 물리적인 치료와 환자, 가족들의 마음까지 치유하면서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진정한 의미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아직 국내에서는 호스피스 의료에 관해 개선돼야 할 사안들이 많다. 먼저 사회적인 의식 변화가 필요하다. ‘무의미한 연명치료 중단’에 대해 인명경시 논란이 있었고 관련법으로 근거와 기준이 제시됐으나 아직까진 호스피스에 대해 삶을 포기하는 사람들이라고 생각하는 풍토가 있다.

 

호스피스 의료는 삶과 환자를 포기하는 것이 아니라 아름다운 생애를 정리하도록 환자와 가족들이 준비하는 과정, 시간들이라 할 수 있다.

 

제도적인 문제도 개선돼야 한다. 현재 우리나라 암환자는 100만 여명에 이르며 해마다 7만 여명이 말기암으로 사망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환자들을 케어하는 의료시스템과 제도적 장치가 아직은 부족한 부분이 있다.

 

보건복지부는 말기암 환자 전문 의료서비스 정착을 위해 완화의료 전문 병상을 880개에서 1400여개로 확대하고 2020년까지 완화의료 이용률을 11.9%에서 20%로 확대하는 ‘호스피스완화의료 활성화 대책을 발표했다.

 

이와 함께 완화의료팀제 및 가정 호스피스 완화의료제 또한 도입 추진 중인데 이는 정부와 의료기관 등 관련 기관들의 협력이 필요한 부분이라 할 수 있겠다.



관련기사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