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데믹 상황에서 여행 계획, '말라리아' 주의 필요"
박윤선 교수(가천대 길병원 감염내과)
2023.08.28 08:36 댓글쓰기

금년 6월 2일 국내에서 첫 말라리아 경보가 발령됐다. 


엔데믹 속 해외 여행객이 증가하고 국내에서도 주요 말라리아 발생 지역을 중심으로 환자가 늘고 있다.  


최근 전세계적인 엔데믹 선언과 맞물려 해외여행객이 증가하는 가운데, 말라리아에 대한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


말라리아는 열원충 속 원충 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급성 발열성 질환으로 감염된 얼룩날개모기 속 암컷 모기에 물려 사람에게 전염된다. 


얼룩날개모기는 전체적으로 흑색 중형모기로 날개에 흑·백색의 반점 무늬가 있다. 휴식 시 복부를 40~50°의 각이 되도록 복부를 들고 있다.


최근 WHO 보고서에 따르면 말라리아 환자는 2020년엔 2억 4500만건, 2021년엔 2억 4700만건이 발생했고, 사망자는 2020년 52만 5000명, 2021년 61만 9000명으로 추정됐다. 


올해 6월 1일 기준 120명 발생, 지난해 같은기간 대비 3배 증가


국내의 경우 질병관리청 감염병포털에 따르면 엔데믹 영향으로 지난해 말라리아 환자는 모두 420명이었다. 2021년 발생한 환자 수 294명이었다. 올해의 경우 6월 1일 기준 120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44명보다 약 3배 증가했다. 


말라리아는 세계적으로 아프리카에서 발생 위험이 높고 아시아와 오세아니아, 동남아시아 등에서 발생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북한과 인접해 있는 휴전선 인근에서 지속적으로 환자가 발생하고 있다. 


2022년 기준 경기, 인천, 서울, 강원 순으로 환자가 많이 발생했다. 국내의 경우 지난 6월 2일 올해 첫 김포, 파주에서 말라리아 경보가 발령되기도 했다. 


엔데믹이 본격화되면서 해외여행을 떠나는 사람들이 늘어나 말라리아에 대한 경각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말라리아 백신 없는 실정, 국가에 맞는 적절한 예방약 선택해서 섭취 중요"


말라리아는 백신이 없기 때문에 여행 지역에 맞춰 예방약을 선택해 기간 및 약제에 따라 정해진 복용 수칙에 맞게 섭취해야 한다. 말라리아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우선 여행 국가에 맞는 적절한 예방약을 선택해 섭취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 여행 기간에 맞춰서 예방약의 복용 방법을 달리해 섭취해야 한다. 이는 방문 국가와 기간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의료진과 상담을 진행한 후 결정해야한다. 


말라리아 예방을 위해서는 국내외 말라리아 위험지역 방문 시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 최선이다. 


국내의 경우 모기가 활동하는 4월부터 10월까지 야외 활동을 자제하는게 좋다. 불가피한 야간 외출 시에는 밝은 색 긴 옷을 착용하고, 모기 기피제를 사용하는 등 개인 예방을 철저히 실천해야 한다. 


또한 모기 침입을 막기 위해 방충망을 정비하고 모기장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실내에서 살충제를 적절히 사용하는 것도 필요하다. 


말라리아 위험지역에 거주하거나 여행 후 발열, 오한, 두통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가까운 보건소나 의료기관을 방문해 말라리아 검사를 받아야 한다.


치료는 클로로퀸 감수성에 따라 표진치료방법을 적용하며, 중증일 경우에는 주사제 등을 활용하게 된다. 


말라리아는 보통 감염된 모기에 물린 뒤 10~15일 시작된다. 초기증상은 두통, 식욕부진, 오한, 고열 등이 나타나고 체온이 상승해 심하게 춥고 떨리는 증상이 나타난다. 


질환 초기에는 매일 열이 나며 타 질환과 감별할 수 있는 특징적인 증상이나 이학적 소견이 없어 말라리아로 인식하기 어려울 수 있다. 


중증말라리아는 종종 뇌 말라리아, 빈혈 및 호흡곤란으로 나타난다. 중증말라리아를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관리하지 않으면 사망률이 높아지지만, 적절한 치료를 받을 때 10~20%로 떨어진다. 


중증말라리아에서 보이는 가장 흔한 합병증으로는 저혈당과 젖산산증이 있다. 임산부에게서는 사산, 저체중아 출생 등 심각한 문제가 발생한다. 


진단은 신속진단검사(RDT) & 현미경 섬사 / 유전자검출검사를 동시 실시해 원충 또는 유전자 확인으로 진단한다. 치료는 치료제 경구 투여가 원칙이지만, 중증인 경우 주사제 및 비경구 투여로 진행한다. 


국내외 말라리아 위험지역 방문 시 모기에 물리지 않는 것이 최선의 예방책이기 때문에 만약 질환이 의심되면 빠르게 의료기관을 방문해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