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계 '환자' 경제계 '비용 효과' 산업계 '투자 가치'
4차 산업혁명 핵심 디지털 헬스케어 '3개 시선' 주목, "환자에 대한 책임은 의사"
2022.07.06 06:13 댓글쓰기



의료계와 경제학계, 산업계는 ‘디지털 헬스케어’를 바라보는 초점을 다른 곳에 맞추고 있었다. 4차 산업혁명 핵심 산업으로 손꼽히는 디지털 헬스케어가 앞으로 어떤 미래로 향할지를 놓고 각 분야의 시각이 갈렸다. 


5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제3회 건강향상 정책포럼서는 의료계를 비롯해 경제학계, 산업계 등 전문가가 참여해 ‘디지털헬스케어로의 전환, 그 임상적 근거와 경제적 가치’를 주제로 토론을 벌였다.


의료계에서는 신재용 연세대 의대 예방의학과 교수가 주제 발표자로, 유소영 대한의사협회 정보통신 이사(서울아산병원 빅데이터연구센터 교수)가 지정 토론자로 나섰다.


의료계측 두 교수의 관심은 ‘환자’였다. 환자가 빠진 디지털 헬스케어는 의미가 없기 때문에 ‘환자 중심성’을 지향해야 한다는 것이다.


신 교수는 주제 발표에서 디지털 헬스케어에서 환자 중심의 중요함과 함께 긍정적인 기대 효과를 전망했다. 


그는 “디지털 헬스케어는 분명 임상적 가치가 있다. 환자들의 물리적‧심리적 장벽을 줄이고 환자 중심성을 높일 수 있다”며 “지속적인 연구개발 투자가 이뤄지고 관련 제도 역시 점차 성숙해가면서 계속 발전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다만 현행 수가 제도가 환자 중심성보다는 비용 효과적인 측면을 중시하기 때문에 앞으로 제 가치를 인정받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며 “단순히 비용적인 측면보다는 환자 접근성과 치료 효과를 높이는 가치 중심적 측면에서 바라볼 필요가 있다”고 부연했다.


윤 이사는 디지털 헬스케어에서 환자가 빠지면 안 된다는 점을 강조했다.


그는 “1차 목표는 국민 건강이어야 한다. 물론 선도국가 목표, 실질적인 이익 산출 등도 좋지만 이는 부산물이지, 중심 가치나 목표가 돼서는 안 된다”고 경고했다.


이어 “환자에 대한 책임은 의사에게 있다. 디지털 헬스케어에서도 마찬가지”라며 “디지털 헬스케어 확대에 앞서 환자가 최우선이 되는 핵심 가치가 훼손되지 않도록, 의료계와 충분한 소통과 논의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반면 경제학계 핵심 키워드는 ‘비용대비 효과’였다. 주제발표자로 나선 홍석철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는 “전보다 의료 수요와 지출이 급증하는데, 정부 재정 여건에는 한계가 있다. 지속가능성이 점차 취약해지고 있다”며 “디지털 헬스케어는 단순 치료 측면을 넘어 질병에 대비, 예방하고 병원에 오가는 시간을 줄여 장기적으로 기회비용을 상당히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다만 의료 현장에서는 아직 안전성에 대한 우려가 큰 상황이다. 의료사업이 기본적으로 규제사업인 이유도 여기에 있다”며 “현재는 보조적 역할로서 제한적으로 활용되고 있지만, 향후 기술이 발전하면 이 문제도 점점 줄어들 것”이라고 덧붙였다.


업계 시각은 ‘투자 가치’를 향해 있었다. 김치원 카카오벤처스 상무는 “투자자는 자선사업가는 아니다. 결국 충분한 돈을 벌 수 있느냐가 중요한 요소”라며 “국내 여건 상 디지털 헬스케어 기업을 평가할 때 우리 국민에게 최선인지보다는 해외 진출 가능성이 있느냐에 투자 무게를 둬야 한다는 점이 안타깝다”고 설명했다.


이어 “현재 우리나라는 세계 최고 수준의 의료 접근성을 갖추고 있어 디지털 헬스케어가 당장 가치를 입증받지 못하고 있다. 하지만 환자에게 좋은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장기적 관점에서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물꼬를 터줄 수 있는 시스템 마련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