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인 조울증 비밀 규명될까…대규모 연구 착수
고대안암병원 이헌정 교수, 美하버드대 등과 양극성 장애 유전체 공동연구
2022.11.30 16:58 댓글쓰기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이헌정 교수가 미국 하버드대학 등과 공동으로 대규모 아시아인 양극성 장애 유전체 연구를 진행한다.


이번 연구는 아시아인의 양극성 장애 원인 규명과 진단, 치료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열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흔히 ‘조울증’이라고 부르는 양극성 장애는 우울증 상태와 조증 상태가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질환이다. 세계 인구의 1~2% 사람들이 겪는다. 


양극성 장애는 발병에 관여하는 다양한 유전적 요인들을 확인하는 게 치료 및 예방법 개발에 중요하므로 전세계적으로 많은 연구자들이 관련 연구를 진행 중이다.


학계에서 정신질환 유전체 연구가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지만 연구에 참여하는 대상자 중 아시아인은 10% 밖에 되지 않는다. 


세계 인구의 60%를 차지하는 아시아인 비율로 볼 때 이는 기대에 훨씬 못 미치는 수준으로 아시아인 특성이 누락돼 연구결과를 인류 전체에 적용할 수 없다는 게 큰 우려점이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고자 기획된 ‘아시아 양극성 유전학 네트워크(A-BIG-NET)’ 연구단이 드디어 연구를 개시한다.


A-BIG-NET 연구단은 2022년 말부터 향후 5년 간 양극성 장애로 진단된 2만7500명의 환자와 1만5000명의 정상군을 조사하고 분석한다.


미국국립보건원에서 대규모 연구비를 지원하는 이번 연구는 그간 상대적으로 소외됐던 아시아인에서 양극성 장애 특징을 발굴하고 발병 요인을 확인할 것으로 기대된다.


전체 총괄 연구책임자는 미국 하버드대학 브로드연구소 하이랑 황 교수와 버지니아 커먼웰스 대학 케네스 켄들러 교수가 맡는다.


이 밖에 존스홉킨스대학, 인도국립정신건강신경과학연구소, 인도과학연구소, 싱가포르정신건강연구소, 국립대만대학교 등 세계적인 연구기관들이 함께한다.


우리나라에서는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이헌정 교수가 연구책임자, 삼성서울병원 백지현 교수가 공동연구책임자로 참여한다.


이헌정 교수는 “그동안 아시아에서는 한번도 시행되지 않은 역사적으로 의미있는 대규모 양극성장애 유전체 연구”라고 설명했다.


이어 “이번 연구를 통해 양극성 장애 원인 규명 및 진단과 치료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가져올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