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 공공어린이병원, 소아암 진료체계 유지 미흡"
학회, 시범사업 평가…"지역사회 중심 치료·돌봄 활성화" 주장
2022.11.28 05:55 댓글쓰기

필수 중증의료분야 진료체계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가운데 일선 현장 의사들이 정부가 추진중인 소아청소년 대상 시범사업들에 대한 평가를 내놨다.


무엇보다 ‘공공어린이병원 사업’에 대해 소아암 진료체계 유지에 미흡하다고 지적했다. 최선의 치료를 전국 어디서나 받기 위해선 지역사회 중심 치료와 돌봄 활성화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27일 대한소아혈액종양학회는 ‘소아청소년암 진료체계 모형 개발을 위한 시범사업’에 대해 현재 의료상황과 전문가들의 의견을 고려한 현실적 정책으로 판단했다.


학회는 해당 사업에 환영 입장을 나타냈다. 아울러 붕괴 위기인 소아청소년암 진료체계 유지를 위한 해당 계획의 빠른 수행을 위해 국가 차원의 적극적인 재정지원을 촉구했다.


동시에 ‘공공 어린이병원 적자보전사업’ 시행 계획에 대해서는 반색했다. 다소 늦은 감이 있지만 천만다행이라는 평가다.


하지만 다양한 범주 소아청소년 외과 질환을 대상으로 하는 ‘공공어린이병원 사업’은 소아암 진료체계를 유지하는데 미흡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소아청소년암 환자들은 단순 ‘치료’가 아닌, 소아암 진단, 치료, 지료종결 이후까지 ‘치료와 그에 수반된 신체적, 정서적 돌봄’이 필요하다는 이유에서다.


관련된 소아청소년암 진료과와 의료진뿐만 아니라 사회사업팀, 영양팀, 약제팀, 병원학교 등 다학제 협조체계가 필수적이다.


사업 참여대상인 병원들 상당수가 수도권에 위치한 상급종합병원으로 비수도권 소아청소년암 진료체계 붕괴의 해결책이 될 수 없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대상 기관에 암특화병원의 소아청소년암센터는 해당되지 않는 점도 문제다. 소외되는 지역이 존재할 수 밖에 없어 최선의 치료를 전국 어디서나, 최소한 권역별로는 받게 돼야 한다는 주장이다.


소아청소년암은 우리나라 아동 질병사망의 1위이며, 해마다 전국 1000명 남짓 생기는 희귀한 암이다. 하지만 ‘최선의 치료와 돌봄’을 받는다면 85%의 환자들이 완치돼 학교, 가정생활로 돌아갈 수 있다. 


이를 위해 소아 항암치료 중 발생한 발열, 출혈 등과 같은 부작용 발생시 24시간 연락하고 외래 혹은 입원 진료가 반드시 필요하다.


환자 거주지 부근 병원에선 이 같은 응급 상황에 대한 대처가 용이해 진다. 하지만 지방 환자가 수도권 소재 병원에서 치료를 받는다면 해당 의료서비스는 불가능하다.


학회 관계자는 “그 첫 단계로 권역별 소아청소년암센터 제도를 통한 소아청소년암 환자들의 지역사회 중심의 치료와 돌봄 활성화를 제안한 바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소아청소년암 환자들의 진단, 치료 중 긴급상황 연락체계, 진료의뢰망 구축 및 유지가 가능해질 것”이라며 “치료 종결 후에도 복약 및 항암치료 교육, 감염관리 및 예방, 영양 교육, 완화의료서비스, 생존자 지지사업과의 연계 등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학회는 복지부가 시행중인 ‘외상학 전문인력 양성사업’, ‘공중보건장학제도’ 등과 유사하게 소아암 전문의 인력양성사업의 필요성을 주장했다.


학회 관계자는 “필수중증의료분야 중 소아청소년암과 같이 고도의 전문성과 숙련성이 요구되는 분야는 향후 전문의 중심 진료체계로 개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면서 “이를 위해 입원전담의, 당직전문의 제도 활성화와 이를 뒷받침할 재정지원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