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졸중 사각지대 증가, '수가 개선-전공의 증원' 시급"
대한뇌졸중학회 "고령시대 환자 늘어나도 낮은 수가로 병원들 투자 어려운 상황"
2022.08.02 06:11 댓글쓰기

국내 뇌졸중 치료의 사각지대를 근본적으로 해소하기 위해 수가 개선과 전공의 증원이 시급하다는 전문가 지적이 나왔다. 


대한뇌졸중학회는 1일 성명을 통해 “급성기 뇌졸중환자는 발생 후 수일 간 활력징후가 불안정하고 악화, 재발 및 합병증 발생 위험이 높아 전문의료진의 집중적인 관리가 필요하다”며 이같이 밝혔다.


급성기 뇌졸중환자는 일반병동이 아닌 뇌졸중집중치료실(Stroke Unit)에서 치료하는 경우 예후가 더욱 좋다고 여러 임상 연구들에서 밝혀진 바 있다. 


이를 토대로 우리나라를 포함한 대부분의 국가들은 뇌졸중진료지침을 통해 급성기 뇌졸중환자의 입원치료를 뇌졸중집중치료실에서 수행토록 권고하고 있다. 


하지만 지난 29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발표한 제9차 뇌졸중적정성평가 결과에 따르면, 급성뇌졸중 진료를 제공하는 국내 233개 병원의 절반 이하인 42.5%만 뇌졸중집중치료실을 운영하고 있었다. 


이에 대한뇌졸중학회는 “여전히 많은 뇌졸중 환자들이 급성기에 적절한 치료 사각지대에 있다”며 “학회는 뇌졸중집중치료실 확대를 위해 2012년부터 인증사업을 진행해 왔으나 여전히 더딘 상황으로 근본적인 원인 해결을 위해서는 정부와 보건당국의 정책적 지원이 절실하다”고 호소했다.


그들은 뇌졸중집중치료실 확산이 더딘 첫 번째 이유로 ‘낮은 수가’를 지적했다.


대한뇌졸중학회는 “현행 뇌졸중집중치료실 입원료 1일 수가는 종합병원 기준 13만3320원이지만 간호간병통합서비스를 시행하는 병동에 입원하는 경우 16만710원으로 집중치료실 수가가 오히려 일반병동 입원료보다 더 낮다”며 “상급종합병원은 뇌졸중집중치료실 수가가 일반 중환자실 입원료 수가의 절반 정도”라고 말했다.


이어 “유사한 준중환자실인 고위험산모 집중치료실 수가에 비해서도 15% 정도 낮다”며 “뇌졸중집중치료실은 중환자실에 준한 환자모니터링 설비와 전문성을 갖춘 의료진의 24시간 진료가 필요하지만 낮은 수가로 병원들은 손해를 감수하면서 운영하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대한뇌졸중학회는 10년 이상 제자리를 유지하고 있는 신경과 전공의 정원으로 전문인력이 부족한 점 역시 개선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그들은 “뇌졸중집중치료실은 24시간 환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신경학적 증상의 변화에 적절히 대처하기 위해 신경을 전공으로 하는 의사가 24시간 근무해야 한다”며 “특히 중증뇌졸중 환자가 많이 내원하는 대학병원은 허혈뇌졸중의 진료를 주로 담당하는 신경과 전문의와 전공의가 24시간 근무체계를 유지하는 경우가 많다”고 전했다. 


이어 “고령화에 따라 증가하는 뇌졸중 환자와 뇌졸중집중치료실 진료의 확대 보급을 위해서는 관련 분야 전문의 배출을 늘려야 한다”며 “하지만 신경과 전공의 정원은 10년 이상 제자리로 2022년의 경우 수련병원의 신청 대비 배정 정원이 30여 명 적어 뇌졸중진료현장에서 만성적인 전문인력 부족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덧붙였다.


끝으로 그들은 “뇌졸중의 사회적 부담을 줄이고 환자들 예후를 개선하는 중요한 수단인 뇌졸중집중치료실의 확대 보급을 위해서는 먼저 적절한 수가를 통한 보상과 전문인력 배출을 위한 전공의 정원 증원이 반드시 선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댓글 2
답변 글쓰기
0 / 2000
  • ㅎㅎ 09.02 08:45
    어차피 저 학회는 사당화 되서 뇌혈관질환 진료 의사를 대표한다기보다, 한 병원 출신 혹은 개인의 입장을 대변하는듯 보임.
  • ysk 08.03 07:54
    또 시작이군,,,

    본인들 이권 챙기기..의사가 그랬으면 더 달려들겠지요

    문제생기면 수가올려달라, 인건비 올려달라 아마 올려도 또 문제 생깁니다.

    요점은

    본인들이 중증질환보면 힘드니까 지원 안하는게 트렌드니까요

    수련도 대충 받습니다.

    지원한 훌륭한 의사는 일에 찌들어 불쌍한데,,,이런 의사 소수입니다.

    일 안하고 뺀질이는 점점 늘어나 높은 비율에 달합니다.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