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형 당뇨 지원되는 연속혈당측정기 하지만…
높은 비용 부담으로 사용 기피…환자단체 "건강보험 등 확대" 촉구
2022.07.12 19:01 댓글쓰기

[기획 上] 당뇨병 치료·관리 시 연속혈당측정기(CGM)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미국당뇨병학회(ADA)와 미국내분비학회(ENDO)에 이어 대한당뇨병학회(KDA)도 GCM을 당뇨병 치료 가이드라인에 포함하며 역할과 중요성을 강조하고 나섰다. 당뇨병 환자들도 CGM 편의성에 공감하며 지원 정책 확대를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이처럼 CGM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는 것과 달리, 사용률은 저조했다. 앞서 정부는 2020년 1형 당뇨환자를 대상으로 CGM을 급여화하며 지원에 나섰지만 요양비 형태로 지급했고, 2형 당뇨환자는 제외한 탓에 여전히 많은 환자가 당뇨병 치료와 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이러한 가운데 새정부 출범 후 금년 6월, 드디어 CGM 처방·교육 및 상담 수가가 신설됐다. 이에 필요성을 알면서도 CGM 적극 활용이 어려움을 호소했던 당뇨병학계 및 의료계는 이번 급여화를 환영하면서도 ‘절반의 성과’라며 아쉬움을 표하고 있다. 데일리메디가 CGM 급여화를 둘러싼 일련의 상황을 진단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국내 당뇨병 환자는 2017년 311만 명에서 2021년 376만 명으로 5년 간 약 21% 증가했다. 


대한당뇨병학회는 국내 당뇨병 환자가 500만 명을 넘었으며, 당뇨 전(前) 단계에 이른 사람은 830만 명, 당뇨병 고위험군에 있는 사람도 1300만 명에 달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당뇨병이 이른바 ‘국민병’으로 자리잡으면서 정부도 다양한 지원 정책을 펼치고 있다. 대표적으로 연속혈당측정기(CGM) 지원 사업이다.


정부는 지난 2020년 제1형 당뇨(소아당뇨)를 대상으로 CGM을 의료급여 요양비로 신규 적용할 수 있도록 ‘의료급여법 시행규칙’을 개정했다.


이 법령 개정으로 그동안 CGM과 인슐린자동주입기에 사용하는 ‘소모성 재료’에만 국한된 지원이 ‘당뇨병 관리기기’로 확대됐다.


구체적으로 연속혈당측정기는 84만원, 인슐린자동주입기는 170만원을 기준금액으로 하고 기준금액 또는 실구입가 중 낮은 금액의 70%를 지원키로 했다.


CGM은 채혈로 혈당을 측정하는 혈액혈당측정(BGM)과 달리 10mm 이하 미세한 침습으로 혈당을 측정하는 기술을 탑재한 의료기기다. 


채혈에 따른 고통이 없고, 센서를 장착하는 동안 혈당 변화를 지속적으로 관측, 평생 혈당 관리가 필수적인 1형 당뇨 환자에게는 반드시 필요한 의료기기다.


실제 CGM은 국내외 여러 연구에서도 뛰어난 임상 효과도 입증되고 있다.


김재현 삼성서울병원 내분비내과 교수가 발표한 ‘당뇨병 환자 혈당 모니터링 최신지견’에 따르면 CGM은 혈당 변동성을 줄이고 당화혈색소와 저혈당 발생 빈도를 낮추는데 탁월한 효과를 보이고 있다.


연구에 따르면 당화혈색소가 목표치에 도달한 환자가 CGM 사용 시 저혈당 노출 시간(<70mg/dL, <54mg/dL Time in Range, TIR)은 줄고, 정상 혈당 범위 시간(70-180 mg/dL TIR)은 늘어났다. 


또 임신 1형 당뇨병 환자에게도 저혈당과 고혈당 빈도를 줄이고, 거대 신생아 출산 및 신생아 저혈당, 신생아 중환자실 입원 치료 빈도를 줄이는 효과를 보였다.


특히 CGM은 2000년 첫 출시된 이후 정확성은 물론 크기, 무게, 복잡성, 센서와 모니터 가격 등 전 영역에서 비약적인 발전을 이루며 새로운 당뇨병 치료 및 관리 패러다임으로 자리매김 하고 있다.


환자, 가격 부담은 여전…정책 실효성 물음표


기술 발전과 정부 지원 정책이 맞물리며 환자들의 삶의 질은 예전보다 개선됐지만, 여전히 많은 환자가 CGM을 사용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경제적인 부담이 크기 때문이다.


현재 국내서는 크게 덱스콤(덱스콤G6), 애보트(프리스타일 리브레), 메드트로닉(가디언커넥트 시스템) 등 3개 업체가 CGM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산업이 초기 단계이고 점유 업체가 적다 보니 대부분의 제품이 고가다.


당뇨 환자가 이들 업체 CGM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1년에 70~100만원 정도 비용이 든다. 특히 CGM 외에도 인슐린 약제비, 병원 진료비 등 주기적으로 들어가는 비용이 많다.


업체들도 이러한 환자 고충을 덜기 위해 가격 인하 정책을 펼치고 있으나 환자들 부담을 덜기에는 부족한 게 현실이다.


실제 한국1형당뇨병환우회가 CGM 지원 사업이 시행된 이후 이어오는 각종 설문조사에서도 환자 대부분이 ‘가격 부담’으로 CGM을 사용하지 못한다고 응답하고 있다. 


GCM을 사용하고 있는 환자 김 모씨는 “CGM 보급률이 높아지면서 예전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구매할 수 있지만, 아직까지 환자에게 가장 큰 걸림돌은 가격에 대한 부담감”이라면서 “접근성을 높이려면 결국 가격 문제를 해결하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실제 지난 5월 대한당뇨병학회 춘계학술대회에서 조영대 복지부 보험급여과 사무관은 “CGM 요양비 지원자를 대상으로 얼마나 사용되고 있는지, 환자 부담 및 교육 상황 등을 확인했는데 기대했던 것보다 부진한 결과를 얻었다”며 미흡한 측면을 인정했다.


이처럼 환자 부담이 여전히 크다 보니 CGM 지원 정책과 관련해서 관심과 확대 주장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