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신 주권 확립 위해 국가 차원 지원·방향 설정돼야'
강진한 가톨릭의대 백신바이오연구소장
2021.03.01 16:49 댓글쓰기

[특별기고] 예방 백신은 사람 또는 동물에서 병원체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 질환을 예방하기 위해 병원체 자체나 구성분의 일부 또는 독소를 약독화 방법으로 처리, 병 발생을 일으키지 않고 생체 내에서 방어 면역을 유도할 수 있는 면역원성 항원을 함유하는 생물학적 제제다.
 

역사적으로 이런 백신의 사용을 통해 인류 생명을 위협하는 전염 질환들로부터 벗어날 수 있게 돼 백신은 의학적으로 가장 효율성이 큰 의약품이다.
 
특히 신종 전염병에 의한 전 세계적 유행(pandemia) 위협 및 기존 전염병 재창궐에 대한 효과적인 집단 예방으로 확산을 차단하는 역할이 있어 근자에 코로나 19 확산에 따른 백신의 필요성은 전 세계적으로 매우 중요한 의료 수단으로 인식되고 있다.

국가필수예방접종 백신 등 대부분 외국서 수입


그러나 이런 백신은 대부분 외국에서 수입되는 문제가 있다. 실제 기본적인 국가필수예방접종 백신(NIP)인 DTP 및 DTP 혼합 백신, Polio, Td, Tdap, BCG, 일본뇌염, 홍역풍진볼거리 혼합백신 백신, 폐구균 단백결합 백신, B형 인플루엔자 단백결합 백신 등이 전량 수입되는 상황이다.


외국 백신에 의존하지 않고 국민 모두에게 예방 백신을 활용하기 위한 노력은 오래 전부터 강조돼 왔으나 우리나라의 백신 개발 및 제조를 둘러싼 상황은 아직 초보 수준이다.
 

다행히 정부 유관기관과 백신 사업의 중요성을 인식한 몇몇 제약사에서 백신 개발과 제조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기 시작했다.


특히 2012년 정부 차원서 백신 자급화 및 산업화 정책 시도를 출발점으로 범부처적인 노력이 있었고, 전문가 집단도 이러한 백신 자급화 및 산업화 태동을 긍정적이고 미래 지향적인 측면으로 인정해 참여가 적극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백신 자급화와 산업화를 위해서는 확실한 기반 구축이 선행돼야 한다. 백신 개발 능력이 있는 인력을 갖추고, 백신 생산시설 구성 및 운영 등에 있어 전문성이 중요하며, 전(前) 임상시험을 수행할 수 있는 체계 및 국내외 임상 연구 프로토콜 개발과 수행할 체계가 마련돼야 한다.

"백신 자급화와 산업화는 민간기업 노력과 역량만으로는 한계"


이런 기초적 체계가 만들어질 때 백신은 개발되고 산업화돼 자급자족 단계에 이를 수 있다. 그러나 백신의 자급화와 산업화는 민간기업 노력과 역량만으로는 실현성이 적다.


선진 국에서는 자국민을 위한 3차 방위산업 개념과 미래 바이오산업으로 백신 회사를 적극 지원하고 있다. 즉, 백신은 기본적으로 자국민 생명을 보호하기 위한 방위산업 측면과 화학물질이 아닌 생물학적 제제에 대한 측면으로 관리하고 있는 것이다.


이런 측면에서 백신 산업화는 민간 위주가 아닌 국가 정책 및 지원이 병행되는 방향으로 진행돼야 하며 국민 모두가 관심을 갖기 위해 공개적이어야 한다.


또 국내 백신 자급화를 통한 백신 주권 확립을 실현하기 위해 현재 기업과 정부가 중요하게 인식해야 할 내용과 개선 사항을 정확히 파악해야 한다.


백신 개발을 통해 상용화가 이뤄질 때까지 많은 기술과 인프라, 시간 및 비용이 동반된다는 사실을 정확히 이해해야 한다.


현재 코로나19 백신 개발 상황을 보면 실제 이런 문제점이 많이 관찰된다. 확고한 기반 기술과 임상연구를 위한 기초자료 없이 급하게 진행되는 문제점이 있어 향후 안전하고 유효한 상용화 백신이 실제 만들어 질까하는 의구심이 든다.

"행정적 측면 치우친 정부 정책지원 우려"


정책적 지원에서도 정확한 평가없이 지원을 하거나, 개발 후 사업적 확산을 위한 세계화 지원 정책이 너무 행정에 치우치고 있는 경향 등은 매우 우려되는 문제점이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일차적으로 개발 기업 및 정부 유관기관과 전문가들의 원활한 교류가 이뤄져야 경제 및 시간적 누수를 방지하고 실효성 있는 백신 개발이 가능할 것이다.


정부에서 파악한 국내 백신 자급화 중장기 로드맵도 보여주는 식이 아닌 실제 상황을 정확히 파악하고 설정된 목표를 위한 무리한 추진은 금해야 한다.


백신 임상을 오래한 입장에서 백신 자급화의 가장 큰 걸림돌은 성급하고, 지속성이 없으며 기업 논리를 벗어난 정책과 지원이라고 생각된다.


특히 백신 개발이 가능한 기반이 있는 백신을 중점적으로 지원하고, 불필요한 중복 투자를 피하며 이 제품이 백신 시장에서 제값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자급화에 가장 잘 접근할 수 있다.


너무 지나친 행정 규제와 기업의 사업성을 생각하지 않는 국내 생산 국가필수예방 백신의 저가 정책 및 실제 글로벌 제품을 선호하는 경향 등은 자급화를 막는 것으로 느껴질 때가 있다.


코로나 19 발현으로 전 세계가 돌발 감염 질환 문제와 이를 조기에 해결하기 위한 백신 개발을 애타게 기다리고 있다.
 

우리나라 백신 개발과 연관된 모든 기반이 하루 빨리 확립돼 국가필수 예방백신의 자급화를 이루고 신종 감염 병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길 염원한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