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이후 주목받는 '디지털 헬스케어'
비대면 의료 필요성 42%→70.4% vs 불필요 19.3%→6.3%
2020.08.11 16:50 댓글쓰기
[데일리메디 강애리 기자]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감염병 위기대응에 대한 관심이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전 세계적으로 병원환경과 의료서비스 시스템에 큰 변화가 예상된다.
 
특히 팬데믹 상황에서 병원 및 의료진 감염 위험을 줄이며 진료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비대면 의료서비스'가 주목받고 있다.
 
실제로 미국, 영국, 호주 등에서는 현행 의료전달체계 등을 보완하기 위해 텔레헬스(Telehealth) 등을 적극 활용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코로나19 사태에 대응하기 위해 한시적으로 전화 상담 및 처방이 허용됐다. 지난 5월10일까지 77일간 국내 3853개 의료기관에서 26만2121건의 전화 상담 및 처방이 이뤄졌고, 환자들 만족도 역시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화상담 이용 횟수와 진료금액을 살펴봤을 때도 전체 이용자의 40%가 동네의원을 방문한 것으로 집계돼 대한의사협회 등에서 우려한 대형병원 쏠림 현상은 적은 것으로 관측됐다.
 
국민들의 비대면 의료서비스에 대한 인식 역시 전향적으로 변했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지난 4월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70.4%가 ‘비대면 의료서비스가 필요하다’고 응답하는 등 코로나19 이전의 42.0% 보다 약 1.6배 늘었다.
 
또한 ‘비대면 의료서비스가 불필요하다’고 응답한 비율은 6.3%에 불과해 코로나19 이전 19.3% 대비 3분의 1 수준으로 줄었다.
 
이와 관련,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개인 건강정보 활용 및 보호를 위한 법적 근거 마련 ▲사회적 합의를 통해 단계적 비대면 의료서비스 실행 ▲디지털 헬스케어산업 육성을 위한 생태계 조성 ▲디지털 헬스케어 전담 조직 신설 등을 준비 중이다.
 
진흥원 관계자는 "비대면 의료서비스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시범사업 경험과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전화상담 및 처방, 생활치료센터와 의료기관 비대면서비스 경험을 기반으로 환자 접근성 및 편의성은 높이고, 부작용은 최소화하기 위한 중장기 종합계획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정부, 의료계, 시민단체 등이 참여하는 사회적 논의기구를 만들어야 한다”면서 사회적 합의기구를 통한 단계적 비대면 서비스 도입을 주장했다.


관련기사
댓글 1
답변 글쓰기
0 / 2000
  • 123 08.11 17:12
    대한민국 산업 생태계와 의료산업의 미래도약을 위해 꼭 발전시켜야할 산업부문이라고 봅니다.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