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 인식 개선 사회변화, 의사들 앞장 선다'
윤건호 대한당뇨병학회 이사장
2020.01.31 06:54 댓글쓰기

“당뇨병을 가진 환자가 크게 늘었음에도 여전히 인식은 좋아지지 않고 있다. 사회적 무관심과 환자 대부분은 자신이 가진 질환을 숨기려 한다. 당뇨병 극복은 한 두 사람의 노력으로는 쉽지 않고, 사회 전체가 바뀌어야 한다. 환경 개선에 학회가 적극적으로 나서기로 결정했다”

최근 대한당뇨병학회 이사장에 취임한 윤건호 교수(서울성모병원)[사진]가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던진 첫 목표다. 아울러 당뇨환자에게는 “당당한 당뇨인이 되라”고 주문했다.


윤 이사장은 의료 선진국의 사례를 예로 들었다. 영국에선 당뇨병 국회의원들의 모임도 있을 정도로 질환에 대해 당당하다. 이들 정치인들은 국제학회에서 발표하고 의견을 제시하기도 한다.


국내에선 국회에 제안을 하면 지원에는 적극적일 수 있지만 정작 본인이 당뇨병 환자라는 사실을 밝히기 꺼린다. 당뇨병에 대한 오해와 함께 인식이 좋지 않기 때문이다.


윤 이사장은 “환자를 위한 노력은 이전 집행부에서도 지속적으로 노력해 왔지만 학회의 비상을 위한 자리매김이 우선순위였다”면서 “올해부터는 환자를 위한 사회 환경 개선에 적극 나서기로 했다”고 말했다.


그는 “이제 의사들도 찾아오는 환자에게 약을 처방하는 수준에서 벗어나 사회적인 큰 변화를 주도해야 한다”면서 “이대로는 곤란하다. 우리부터 변하도록 노력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임기동안 정부 정책 적극 참여 등 3가지 목표 달성”


윤건호 이사장은 향후 2년 임기 동안 ▲사회 환경 개선 및 국가적 근거 창출 ▲정부 정책에 능동적, 적극적 참여 ▲세계적인 학회로의 비상을 목표로 제시했다.

우선 학회는 ‘사회공헌위원회’를 설립하고 상설화한다. 또 다양한 환자 단체와 협업, 기부 및 공생 문화 창출, 활동 지속 가능한 모델 구축, 타 사회 공헌 단체와의 협조 등에 주력할 방침이다.


국가 정책 입안을 위한 적극적 근거 창출의 방안으로 ‘Diabates Fact Sheet’ 및 빅데이터에 기반한 근거를 구축해 진료 지침 및 정책 제안 및 수립시 근거로 사용하게 된다.


환자 및 회원간 소통을 위해 유튜브 기반의 소통 채널을 구축 및 당뇨병 카카오톡 이모티콘 개발 등 다양한 채널 운용 계획도 소개했다.


정부 정책에 대한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참여에 나설 계획이다. 이를 위한 구체적으로 1차 의료 중심 만성질환 관리 시범에 있어 학회가 더욱 적극적으로 협력해 당뇨병 치료의 근간을 마련하게 된다.


또 대형병원 중심의 1형 당뇨병 환자 재택의료 시범사업 참여에 있어 신기술 도입 및 정착을 지원해 환자치료 성적을 향상시키는데 적극 나선다는 방침이다.

올해 10번째 개최된 국제학술대회인 International Congress of Dibetes and Metabolism(ICDM)은 향후 질적, 양적으로 한단계 업그레이드하게 된다.
 

공식 학술지인 DMJ는 현재 SCIE 및 Medline에 모두 등재됐다. 2018년 국제인용지수(IF) 3.263, 해외 투고 논문만이 120여 편에 이르는 명실상부한 국제학술지로 자리매김했다.


윤 이사장은 “회원들의 참여가 이어지고 있다. 이에 힘입어 향후 2년간 IF를 5점대로 끌어올려 전세계 당뇨병 전문지 상위 15%내로 진입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SGLT-2억제제 병용급여 확대, 금년 춘계학술대회 전까지 입장 정리”


윤건호 이사장은 지난 2018년부터 시작된 SGLT-2 억제제와 DPP-4 억제제의 병용처방 급여에 대한 학회내 입장 수립 계획을 전하기도 했다.

이제까지 논의에 진전이 없었던 해당 사안에 대한 학회의 의견통합을 시작, 춘계학술대회 전까지는 정부에 모아진 의견을 전달하겠다는 것이다.


정부는 SGLT-2억제제를 포함한 DPP-4억제제·TZD 등 허가사항 초과 당뇨병치료제 병용요법 전면 급여확대 방안에 대한 의지를 피력해 왔다. 하지만 학회 내부의 의견이 갈리면서 논의는 답보에 놓이게 됐다.


윤 이사장은 “1월 3째주 진행된 올해 첫 워크숍을 통해 정식 논의를 시작, 다양한 의견을 모아지고 있다. 조만간 입장을 확정, 춘계학술대회 전에 마무리 할 수 있을 것”고 상황을 전했다. 

신약이 필요한 환자에는 먼저 쓰고 추후 안전성 평가를 지속적으로 진행하는 PMS 방식도 고려 중이다. 가이드라인 권고수준 중에는 전문가들이 내놓는 ‘Expert recommendation(근거 E)’도 있기 때문이다.

그는 “급여 여부는 정책 결정사안으로 학회가 입장을 정리하는 부분이 맞는지 모르겠다”면서도 “허가초과 사항에 대한 급여 확대는 적용 여부를 떠나서 정확한 모니터링이 수반돼야 한다”고 말했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