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술시간 최소화 등 신장암 수술 '완치율 90%'
홍성후 서울성모병원 교수
2019.12.05 10:53 댓글쓰기
[데일리메디 박성은 기자] 혈관 다발이나 다름 없는 신장을 절제하고 빠른 시간 내에 허혈해 괴사 부위를 줄여야 하는 신장암 수술과 증상이 없어 말기에 진행되는 경우가 많은 전립선암 수술. 비뇨기과 암 수술에서는 집도의의 술기가 특히 중요하다. 홍성후 서울성모병원 비뇨기과 교수는 클립을 이용한 연속 봉합법으로 신장암 수술시간의 4분의 1을 줄이고, 피질봉합을 생략하고 수질봉합만 진행하는 수술법 등으로 신장 손실을 최소화한다. 전립선암 수술에서는 최소 침습수술법인 복강경수술이나 로봇수술을 적극 이용해 발기부전, 요실금 등의 수술 휴유증을 줄인다. 신장암에서는 조기검진을, 전립선암에서는 말기 단계에서도 희망을 가지고 치료에 임하는 마음이 중요하다는 것이 환자들에게 전하는 홍 교수의 메시지다. [편집자주]
 
비뇨기과 암에 속하는 신장암과 전립선암은 모두 증상이 없는 암으로 유명하다. 증상이 없는 암은 조기 발견이 어려워 말기 상태에서 발견되는 경우가 많았지만, 최근 두 암 모두에서 수술을 통한 개선의 여지가 충분하다는 것이 홍성후 서울성모병원 비뇨기과 교수의 견해다.
 
우리나라에서 암 발병률 10위에 속하는 신장암의 경우 과거에는 발견 시 25%는 타 장기로 전이가 이뤄진 말기 상태였다.
 
하지만 최근 건강검진이 보편화되면서 조기 발견 및 수술을 통해 신장을 살리는 경우가 많아졌으며, 신장암 수술 완치율은 90%에 이른다.
 
소위 ‘순한암’으로 치료가 필요없는 경우가 많다고 알려진 전립선암도 홍 교수는 검진이 중요하다는 입장이다.
 
홍 교수는 “몇 년 전부터 방송에서 갑상선암과 더불어 전립선암이 순한암으로 이슈가 됐었는데 꼭 맞는 말이라고 할 수 없다. 치료가 필요없는 경우도 있지만 다른 암과 같이 굉장히 악성이라 고통을 받는 환자들도 많다. 전립선암에서도 진단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반면 전립선암의 경우 다른 암들에 비해 말기 단계에서도 생존 희망을 가지고 치료할 수 있다.
 
홍성후 교수는 “전립선암은 뼈에 전이가 있다고 해도 몇 개월만에 당장 진행되는 경우가 많지 않아 말기에 진단이 됐더라도 지속적으로 치료를 해나갈 수 있다”고 전했다.
 
"전립선암=순한암, 단정하면 안되고 진단 매우 중요"
초단위 다투는 신장암 수술 시간 단축, 최소 침습 수술법 이용
수술 前 교육과 수술 後 회복 프로그램도 중요 
 
신장암은 항암치료나 방사선치료가 잘 듣지 않는 암인 동시에 수술 시 혈관다발을 절제해야 하기에 수술 집도의의 술기가 특히 중요하다.
 
홍성후 교수는 “초단위로 신장 기능이 결정되는 긴장 속에서 이뤄지는 것이 신장암 수술”이라고 말했다.
 
신장암 수술은 암이 있는 혈관덩어리 일부를 잘라내고 피나 소변이 새지 않도록 꿰매주는 방식으로 진행되는데, 절제하고 꿰매는 동안 피가 많이 나기 때문에 수술 중에는 신장으로 가는 동맥을 막는다.
 
동맥을 막은 시간이 길어질수록 신장 기능이 나빠지기 때문에 수술 집도 시 동맥을 막는 시간부터 다시 피가 유입되는 시간까지 초시계로 시간을 잰다.
 
이 같은 허혈시간을 줄이기 위해 홍성후 교수는 클립을 이용한 연속봉합법을 이용한다.
 
홍 교수는 “일반적으로 수술은 30분을 넘지 않는 것이 좋다고 권장되는데, 이 수술법을 사용하면 보통 20분이 걸렸던 수술시간을 15분으로 단축시킬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최대한 많은 부분의 신장을 남기기 위해 그는 신장 바깥 부분인 피질 봉합을 생략하고 수질 봉합만 진행하는 방식을 함께 사용한다.
 
홍성후 교수는 “신장을 많이 남기기 위해서는 절제 후 피나 소변이 새지 않게 봉합하는 부분을 최소화해야 한다”며 “현재까지 100여 명정도 이 방법을 사용했는데 절반 정도는 추가 봉합을 해야 했지만 나머지 절반은 추가 봉합 없이 안전하게 수술을 끝마칠 수 있었다”고 밝혔다.
 
전립선암 수술에서는 최소 침습 수술법인 로봇수술이나 복강경수술을 적극 활용하고 있는 상황이다.
 
홍 교수는 "20~30년 전에 비해 수술기술이 굉장히 많이 발달했다. 이전에는 수술 후 출혈도 많고 회복기간도 길며 요실금과 발기부전은 당연히 따라오는 거라고 생각했지만 최근 수술테크닉이 발달하면서 두 가지 휴유증이 굉장히 많이 줄었다"고 설명했다.
 
여전히 요실금을 겪게 되는 10%의 환자들에게는 인공요도괄약근 수술을, 발기부전을 겪는 환자에게는 전립선을 싸고 있는 막 속 신경을 살리는 수술을 하거나 인공보형물삽입술을 시행할 수 있다.
 
홍성후 교수가 자신만의 수술 기법을 활용하게 되기까지는 수많은 연습기간이 필요했다.
 
홍 교수는 "2001년 전문의를 취득하고 군복무를 마치고 2004년부터 병원에서 임상강사를 시작했는데 그 때 주로 하던 일이 수술 동영상 편집이었다. 4시간의 복강경수술을 20분으로 편집하는 일을 매일 한 두 편씩 하다보니 수술을 익히는 데 도움이 많이 됐다"고 말했다.
 
로봇수술이 도입된 후부터는 로봇수술기기를 능숙하게 다루기 위해 종이학을 접는 연습을 했다.
 
그는 "엄지손톱만하게 종이를 잘라 학을 접는 연습을 했다. 로봇을 이용해서 쌀알만한 학을 두 마리 접고 나니 로봇을 다룰 자신감이 생겼다"고 전했다.
 
의료계에서도 생존을 넘어 삶의 질을 이야기하는 시대인 만큼 홍 교수는 수술 후 회복 프로그램 역시 중요하다는 입장을 피력했다.
 
서울성모병원에서는 CP라는 수술회복프로그램을 통해 환자 각각의 질환에 따라 수술 후 보행, 식사, 약물 투여 등이 프로토콜화 돼있다.
 
최근 외과를 중심으로 널리 행해지고 있는 회복프로그램으로 홍 교수는 '조기 장 프로그램'을 꼽았다.
 
홍 교수는 "예전에는 방귀가 나와야만 식사를 시작했지만 요즘은 방귀가 나오기 전 환자에게 물을 먹이고 식사를 하도록 하는 것이 오히려 장(腸) 운동을 촉진시킨다는 뜻에서 해당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추세"라고 전했다.


관련기사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