政, 치매 극복 1987억 투입···중장기연구 착수
국가치매관리委서 내실화 방안 심의···내년 23개 연구과제 59억 투자
2019.10.29 12:30 댓글쓰기

[데일리메디 백성주 기자] 정부가 내년부터 총 1987억원을 들여 치매 극복을 위한 국가 차원의 중장기 연구에 착수한다.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는 29일 ‘2019년도 제2차 국가치매관리위원회(위원장 김강립 차관)’를 열어, 치매 국가책임제 내실화 방안과 치매극복연구개발사업 추진상황을 심의했다.


지난 2017년 9월부터 출발한 치매국가책임제를 통해 정부는 지난 2년 동안 치매에 대한 맞춤형 사례관리, 의료지원, 장기요양서비스 확대 등 치매환자와 가족의 부담을 덜어주는 과제들을 추진해 왔다.


이번 논의에서는 그동안 마련된 국가차원의 치매관리체계 안에서 치매환자를 모시는 가정을 위해 돌봄 지원 기능을 강화토록 했다.

또 치매안심센터를 중심으로 지역사회 유관기관과 연계해 치매노인을 사각지대 없이 돌보는 국가책임제 내실화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이 같은 돌봄 서비스 개선을 통해, 가족의 부담 감소, 시설입소 지연 등 사회적 비용이 절감될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위원회는 지난 4월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한 치매극복 연구개발사업 추진내용과 향후 일정에 대해서도 심의했다.


오는 2020년부터 2028년까지 9년간, 보건복지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공동으로 총 1987억원을 투입한다.


우선 치매 전(前)단계를 대상으로 조기진단, 예방·치료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위한 원인인자 발굴과 예측기술 개발에 주력한다. 또 치매 발병 이후에는 약물전달, 부작용 개선 등 실용화 연구를 수행해나가데 된다.


치매극복 연구개발사업은 원인규명 및 발병기전 연구, 예측 및 진단기술 개발, 예방 및 치료기술 개발의 3개 세부사업과 14개 중점기술 분야로 구성된다.
 

세부사업
중 점 기 술
원인규명 및
발병기전 연구
1. 치매 발병원인 및 발병기전 규명
2. 치매오믹스 분석연구
3. 치매 위험요인 탐색 및 기전규명
4. 신경보호인자 탐색 및 인지예비능 규명
예측 및
진단기술 개발
1. 혈액, 체액기반 치매 조기진단 기술개발
2. 치매 특이적 영상진단용 방사성의약품 개발 및 검증
3. 치매 영상진단기술 고도화
4. 생체신호, 감각기능 기반 치매 진단기술개발
5. 한국형선별검사 도구 표준화 및 고도화
6. 뇌척수액 검사기술 표준화 및 고도화
7. 기초·임상연구 레지스트리(TRR), 치매연구정보 통합·연계시스템(DPK) 구축
예방 및 치료기술 개발
1. 치매 치료제 개발
2. 뇌 내 약물전달기술 개발
3. 한국형 치매예방법 표준화 및 고도화


내년에는 23개 연구과제에 59억원(6개월)을 투자하도록 정부 예산안을 편성했다. 내년 4월까지 치매극복 연구개발사업단을 설치하고, 연구과제를 공모하여 2020년 하반기부터 과제별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연구가 완료되면 치매 무증상 단계에서 조기발견 및 예방치료를 통해 치매 발병을 지연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김강립 복지부 차관(국가치매관리위원회 위원장)은 “치매로 인한 국민의 어려움을 덜고 사회적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수요자의 눈높이에 맞게 치매 국가책임제 과제들을 내실화해나가겠다”고 약속했다.


이어 “이용자의 만족도가 높은 치매안심센터를 중심으로 관련 서비스를 확대하고 다양화하겠다”고 덧붙였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