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인력 투자 없으면 시설 확충 무용지물'
서울대 간호정책 포럼, '전담 간호사 등 환자 안전 지키도록 정책적 지원 시급'
2015.07.17 20:00 댓글쓰기

“복지부에 간호정책부서 하나 없는 것이 현실이다. 간호사 헌신에 대한 재정적 지원뿐만 아니라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17일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강당에서 열린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교훈: 감염관리와 환자간호 개선방안' 포럼에서는 간호 인력 확충을 위한 실질적인 정책이 마련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잇따랐다. 


서울대병원 송경자 간호본부장은 “메르스 후속 대책으로 대부분 시설투자에만 관심 있는데 음압병실에서 환자를 간호할 수 있는 사람이 없으면 무용지물”이라며 “전문성 있는 간호사를 병원이 보유하고 활용할 수 있게끔 재정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서는 국가적 차원에서 간호사 인적 자원 관리에 투자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송경자 간호본부장은 “보건복지부에 별도로 간호 정책 담당 부서를 마련해야 한다”며 “그래야 간호단체와의 실질적인 스킨십을 통해 장기적인 안목에 따른 정책을 마련하고 발전 동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고 짚었다.


부족한 감염관리간호사 인력 충원과 역량 향상에 대한 제언도 이어졌다. 미국의 경우 100병상 당 최소 0.8~1.0명 감염관리간호사 확보를 권고하고 있는 반면 국내는 200병상 이상 중환자실 운영 종합병원 기준으로 1명 이상 전담인력을 두도록 하고 있다.


서울대병원 김은진 감염관리팀장은 “감염병 역학, 전파 경로 파악, 지자체체 소통 등 다양한 역할을 해야 하는데 단기간 역량 확보하기 어렵다”며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에 대한 지속적 지원과 더불어 100병상 당 1명 이상 인원을 충원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중요성이 부각된 포괄간호서비스 사업의 성공을 위해 필요한 구체적인 간호사 배치 기준도 제시됐다.


서울대 간호대 조성현 교수는 “배치 간호사가 적정 수준이 아닐 경우 환자 건강이 위협받을 수 있다는 점이 메르스 사태로 여실히 드러났다”며 “최대 환자 수 기준으로 간호사 1명 당 8명 수준을 강력히 유지하도록 하도록 당국이 관리, 감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입원료 중 간호관리료가 차지하는 비중은 25%에 불과해 병원의 인력 투자 유인이 낮은 것이 현실이다.


조성현 교수는 “서울대병원의 경우 간호관리료가 2만7000원에 불과한 반면 간병비는 7~8만원이기 때문에 간호 배치 수준을 높이기 어렵다”며 포괄간호료 수가 적정성이 검토돼야 정책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메르스 사태를 반복하지 않으려면 안전한 간호사 배치 수준이 반드시 지켜져야 한다”며 “이 같은 논의와 제도가 정착될 수 있도록 간호계가 문제 해결 목소리를 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